d라이브러리
"기하학"(으)로 총 1,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연구자와 대중 모두를 위한 ‘수학의 집’수학동아 l2018년 08호
- 1900년대 초, 독일의 회사 마틴 실링에서 만든 것이고, 일부는 파리 고등사범학교(ENS)에서 기하학을 가르치던 교수 조셉 까롱이 수학 교육용으로 만든 수학 모형입니다. 까롱은 수학 방정식을 입체 모형으로 만들었는데, 가르치는 학생들이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도록 수학 모형으로 시각화했던 ...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것 같았어요. 김미란 교수: 대학교 1학년까지는 괜찮았는데, 그 이후에 해석학, 대수학, 기하학을 배우면서 힘들었어요. 그 전에는 단편적인 개념을 통해 문제를 푸는 게 전부였기 때문에 이론과 개념을 이해하고 서로 연결하고 확장하는 사고를 하는 데 익숙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Q. 그럼에도 ... ...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공진이 일어났고 결국 다리가 무너졌다. 지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초고층건물을 기하학적으로 ‘대칭’인 형태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 하태훈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건축연구팀 수석연구원은 “지진은 동서남북 어느 방향에서 닥쳐올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지진에 대비하려면 초고층건물을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쓸 수 있다. 구화기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이사(영업기술 담당)는 “멀티는 어떤 기하학적 모양의 레일이라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멀티는 2020년 독일 베를린에 세워지는 ‘이스트사이드 타워’에 설치될 예정이다. 초고층건물에서 바라본 우주대기권을 뚫고 우주까지 ...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상의 영광을 누리게 될까요? 7개월간 필즈상 후보자 10명을 뽑아 소개합니다. 미분기하학 분야에서 필즈상 수상에 가장 가까운 수학자는 시몬 브렌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교수 입니다. 굵직굵직한 문제를 여럿 풀어 2014년에도 유력한 필즈상 후보였습니다. 좋은 연구가 많아 대표 업적도 ... ...
-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진동 방향 조건을 잘 고려해 설계해야 한다는 점이다. 하 수석연구원은 “평면을 복잡한 기하학적 모양으로 만들어 바람을 건물 표면에서 더 멀어지게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초고층보다 높은 상상 4] 수직 공항공항은 터미널, 활주로를 만들 넓은 땅이 있어야 지을 수 있다. 그러나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휘게 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SF 영화에서나 가능할 줄 알았던 시간 여행이 수학 세계의 기하학 구조 안에서는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가령, 시간을 축으로 움직이는 두 인물이 있다고 하자. 이때 A는 도넛 모양으로 휜 버블 시간 속에 있고 B는 직선의 시간 속에 있다. 처음 시작이 같은 ... ...
- 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없는 수학을 취미로 하던 법학자였다. 분명 취미로 한 수학이었지만, 페르마는 정수론과 기하학, 미적분학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수학에 심상치 않은 업적을 두루 남긴다. 문제는 정리나 추측에 대한 증명을 발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혹자는 페르마가 수학적 아이디어를 떠올린 뒤 증명을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정도는 기후에 따라 코 모양이 진화했음을 밝혔어요. 코 모양 중에서도 특히 콧구멍의 기하학 구조가 기후와 연관이 있다고 말이에요. 연구팀은 조상이 같은 서아프리카인, 동아시아인, 북유럽인, 남아시아인 네 집단을 대상으로 코모양 특징을 분석했어요. 코 전체 너비, 코밑 너비, 코 높이, 코 끝 ... ...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한국과 슬로베니아, 독일의 다국적 연구팀이 2018년 6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계산기하학국제심포지엄에서 문제의 답을 발표했습니다. 아직 학술지에 실린 건 아니지만 이쪽 분야의 권위 있는 학회에서 발표한 겁니다. 배상원 경기대학교 교수와 오트프리트 정(정지원) KAIST 교수, 정 교수의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