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미지의 세계에서 영감을 얻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찍는 사진은 은하수를 찍을 때뿐이다. 촬영에 규칙이 있을 수 있겠지만, 각각의 사진은 규칙을 깰 때 가장 유려한 모습이 담긴다. 탐험가로서 보람찬 순간은?경이로운 장소를 직접 볼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장소를 소개할 때다. 세상의 독특한 장소를 보여줄 때 보람차다. 사람들이 이곳을 알게 ... ...
- [이달의 식물사연] 밤마다 기도하는 식물, 칼라테아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금속과 같은 색감을 띠기도 한다. 가장자리 부분만 색이 다른 경우도 있고, 흰색이 불규칙하게 섞여 화려한 잎도 있다.칼라테아 중에서도 특히 반려 식물로 사랑받는 칼라테아 ‘메달리온’은 이 모든 특징을 집대성한 색감과 질감을 갖고 있다. 커다란 잎에 고운 새의 깃털을 섬세한 터치로 그려 ... ...
- 네, 그래서 이과가 투명 스마트폰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배터리, 카메라죠. 이들 부품으로 ‘투명 스마트폰 게임’을 해보려고 합니다. 규칙은 김치 게임과 반대입니다. 각 부품을 투명하게 만든 연구결과가 있다면 이기는 겁니다.우선 반도체입니다. 스마트폰에 활용되는 반도체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만큼 아주 작고 정밀한 반도체는 아니지만, ... ...
- [찐 독자를 만나다!] 과학고 진학한 성동일 배우님 아들, 성준수학동아 l2022년 06호
- ‘구름이 어떻게 만들어지지?’, ‘구름을 타면 어떻게 될까?’, ‘구름 모양에 어떤 규칙이 있을까?’ 같은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어요. 그러다 궁금증이 생기면 인터넷을 찾아보며 해결하기도 하고요. 과학고 입학시험을 볼 때도 깊이 생각하는 게 중요했어요. 드라이버, 핀셋, 알코올 같은 여러 ... ...
- [수학체험실] 직사각형으로 나누기, 테트라스퀘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작은 직사각형은 단 하나의 숫자만 포함하며, 서로 겹치거나 빈칸이 남아서는 안 된다는 규칙이 있다. 테트라스퀘어에 쓰인 숫자는 ‘단위넓이’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단위넓이란 ‘가로×세로’가 ‘1×1’인 정사각형을 말한다. 즉 숫자 2는 단위넓이의 2배를 뜻하고, 4는 단위넓이의 4배를 ... ...
- [매스미디어] 닥터 스트레인지 : 대혼돈의 멀티버스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커지는 소용돌이 모양을 말해요. 미러 디멘션 속 스파이더맨은 아르키메데스 나선처럼 규칙적인 나선 형태를 띠는 주변 지형을 이용해 거미줄을 쏠 수 있었습니다. 닥터 스트레인지를 중심에 두고 각 줄의 반경을 계산해서 거미줄을 친 것이지요. 스파이더맨이 거미줄의 거리나 각도를 계산했는지는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은하들이 많이 보입니다. 이 은하들은 대부분 우리은하보다 작고, 나선은하 또는 불규칙은하에 속합니다. 자, 그럼 여기서 퀴즈! 다음 중 북두칠성이 속한 별자리는 무엇일까요?① 북극곰자리② 반달곰자리③ 큰곰자리④ 작은곰자리⑤ 물곰자리어과수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의 ‘어과동-와르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오늘은 나도 애국자! 마법처럼 태극기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통과하다가 기공을 만나 난반사를 일으킵니다. 난반사는 한 방향으로 들어온 빛이 불규칙한 접촉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되며 흩어지는 것을 뜻해요. 물체에서 빛이 모두 반사되면 흰색으로 보이죠. 하지만 휴지의 기공 때문에 난반사돼 흰색으로 보이던 휴지는 물을 흡수하면 휴지 의 기공에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랭턴의 개미’를 만들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무늬가 생긴답니다. 잠깐! 얼마나 기다려야 규칙성이 보이나요?랭턴의 개미가 규칙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려면 약 1만 칸을 움직여야 해요. 그 뒤로는 104칸을 움직일 때마다 같은 모양을 그리며 반복하게 돼요. 2번 그림 속 꼬리처럼 생긴 부분이 반복된 모양들이 모여 만들어진 그림이랍니다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특별한 가설로 세계를 들썩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5호
- 눈으로 볼 수 있는 3차원을 넘어 더 높은 차원의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하학 규칙을 연구했지요! 이를 ‘리만 기하학’이라고 부르더군요. 훗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 이론을 만들 때 리만 기하학을 이용했다지요. 와! 타고난 수학 천재이셨군요! 하하, 민망하군요. 사람들이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