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내"(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모두 함께 만들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들어가는 전선 묶음들을 모아 다발을 만든다. 터보펌프는 2000년 개발 당시 국내에서 처음 개발되는 기술이었습니다. 설계와 소재 선정, 조립등이 어려웠지만 맨땅에 헤딩하는 기분으로 열심히 만들었습니다!민태기(에스엔에이치 기술소장) 에스엔에이치엔진의 심장 역할을 하는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수의과대학생과의 첫 멘토링, 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우동수비대는 국내 동물원 어디든 원하는 곳을 조사하면 되지만, 전국 200여 개 동물원을 고루 조사하기 위해 2기에는 지역특파원이 배정된 동물원을 추가로 조사할 임무를 받았어. 임무를 달성하면 수의과대학생과 멘토링을 할 수 있어. 그 첫 번째 만남이 열렸어! 우동수비대란?우동수비대 ... ...
- [기획] 우주 승객 ‘블롭’,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관련이 있다는 분자 데이터가 밝혀져 지금은 아메바류로 분류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국내 균류 전문가인 전 우석대학교 대체의학과 조덕현 교수는 “아메바와 달리 변형균류는 포자 번식을 해 균계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고 말했다.✚강 변형균강✚종 피사룸 폴리케팔룸(Physarum ... ...
- [할 말 있어요!] 사육곰 두 마리가 농장에서 탈출했다? 어린 사육곰이 세상을 떠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동물을 가두어 놓는 곳이 아니라는 점에서 동물원과는 다르죠. 곰보금자리프로젝트는 국내 최초의 생츄어리를 만들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요. 생츄어리를 짓는 데는 많은 비용이 들 테지만, 철장에서 나와 너른 잡초밭을 달리는 곰을 보기 위해 많은 분들이 후원해주고 있답니다. ●아종 : ... ...
- [특집] 우동수비대가 찾은 노력 동물원, 순천만국가정원야생동물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AZA)에게 동물 복지 등 일정한 사항을 준수한다고 인증받은 동물원. 국내에는 서울대공원과 에버랜드가 있다. ●인터뷰신용희(순천만국가정원야생동물원 사육팀장)“관람 에티켓을 널리 알려 주세요!” Q우동수비대 조사 결과를 보고 어떠셨나요?우리 동물원을 돌이켜보는 계기가 됐습니다. ... ...
- [JOB 터뷰] 우주과학자? 기업가? 당신의 본캐는? 컨텍 이성희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대체 무슨 사연일까요? 제주도에 최초의 민간 지상국을 세웠어요!“컨텍은 2019년 국내 민간 기업 최초로 제주도에 우주 지상국을 설치했습니다. 지상국에 있는 거대한 안테나를 통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위성, 로켓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역할을 하고 있지요.”컨텍이 어떤 기업이냐고 묻는 ... ...
- 진짜보다 더 진짜처럼, 상상력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대체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영상을 비롯해 CG가 활용되는 게임, 플랫폼 등을 개발하던 국내외 기업에서도 실감형 콘텐츠를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누구나 손쉽게 실감형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시대가 멀지 않았다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잠수함을 검증한 기술로 전기선박에 도전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완성하는 게 목표다. 그는 “현재 전기추진 선박 기술은 노르웨이 등 유럽이 앞서 있고 국내에서 개발할 때는 주로 이들로부터 부품을 사왔다”며 “전기추진 선박이 진정한 미래라면, 더딜지라도 부품을 국산화해야 한다”고 말했다.효율도 개선 중이다. 2025년 완성할 선박은 전기추진 방식 중 ... ...
- [DGIST 융복합 파트너] 초음파와 빛의 융합 공기 방울로 극대화한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과제를 통해 캐나다, 미국 등 해외 연구팀과 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그가 국내에서 광음향 기술을 처음 적용한 분야는 유방암 진단 영상장비다.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세포 또는 물질에 레이저를 쏜 뒤 이때 발생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방법을 활용했다. 덕분에 조기 유방암의 ... ...
- [과동프렌즈] 함께 단단히 성장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보드 핫 뉴스 코너에 소개되기도 했다. 지난해 11월엔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국내 최대 SF 축제 ‘SF 2020’의 SF시네마토크에 과학동아 독자 패널로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김 군은 영화 ‘아이, 로봇’를 보고 명현 KAIST 교수와 대화를 나눴다. 김 군은 “KAIST 교수님이나 과학동아 기자님을 만나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