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응용과학
d라이브러리
"
과학기술
"(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내가 과학을 좋아한 건 언제부터였을까? 어린 시절 기억을 더듬어봐도 아빠가 사다주신 어린이용 영어 교재나 천자문 정도 외에는 떠오르지 않는다. 이렇게나 외골수로 과학을 좋아하게 된 건 온전히 내 기질이 아니었을까 싶다. 사촌 언니 오빠들이 유난히 많아서 새 책보다 물려받는 책이 훨씬 많 ... ...
[SF소설] 귀향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저소득·소외계층의 복지 증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 ...
팩트체크1. 오염수 처리 시설이 오작동 일으켰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지 않으면 정화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황유훈 서울
과학기술
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이온교환수지필터나 흡착제는 기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오염물질의 최대 용량이 있다”고 설명했다. 도쿄전력은 자체 분석 결과 정화 성능이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필터를 교체하고, ... ...
[DGIST@융복합 파트너] 정밀 의료가 보편화된 세상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설명했다. 엘엠엔틱은 ‘원소의(elementic)’라는 단어를 소리 내 읽은 신조어다. 대구경북
과학기술
원(DGIST) 정문에서 차로 5분 정도 직진하면, 창업 비즈니스의 허브라고 불리는 대구테크비즈센터가 나온다. 이곳에서 5월 22일 류 대표를 만났다. “오늘은 새벽 6시에 출근했다”고 말하는 그에게선 ... ...
영재학교 학생이 챗GPT 쓰는 이유는? 빠르고 문제 해결 힌트 준다!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현재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은 어떻게 챗GPT를 사용하고 있을까? 챗GPT 사용을 허용할 지 말지를 두고 갑론을박 하느라 조심스러운 학교도 있지만, ‘시대의 흐름을 거스를 수 없다’는 입장인 학교에서는 활발하게 챗GPT를 활용 중이다. 김백진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세과영) 수학 교사는 최근 챗GPT ... ...
토론 1. 챗GPT, 학교에서 허용해도 될까?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현재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과 교사가 챗GPT를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과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토론에 앞서 사회자인 김영국 충남대학교 컴퓨터융합학부 교수이자 바이오AI융합연구센터 센터장은 “자동차, 검색사이트, 공학계산기 등 신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이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 그리스 신화가 일깨운 것 ♣ 버트런드 러셀은 1890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 장학생으로 입학했습니다. 이때 러셀의 입학 면접을 봤던 이가 수리논리학의 대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교수였는데요. 한눈에 러셀의 재능을 알아본 화이트헤드 교수는 러셀과 연구 이야 ... ...
프로야구 순위 경쟁, 게임 체인저는 여름?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2023 프로야구가 개막한 지 두 달 남짓 흘렀다. 이때쯤 꼭 예상 외로 선전하는 팀이 한두 팀 생긴다. 진행한 경기 수가 적은 만큼 몇 게임 차로 순위가 확확 바뀌기 때문이다. 그 중심에 롯데가 있다.4월 30일 기준 9연승에 단독 1위까지 달성한 롯데가 지금처럼 상위권 성적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중요 ... ...
Habitat ‘화성 1년 살이’를 계획 중이라면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대강의 상황은 이러하다. 나는 화성에서 오도 가도 못하는 신세가 되었다. 헤르메스나 지구와 교신할 방법도 없다. 모두들 내가 죽은 줄 알고 있다. 내가 있는 이 거주용 막사는 31일간의 탐사 활동을 위해 설계된 것이다. 산소 발생기가 고장 나면 질식사할 것이다. 물 환원기가 고장 나면 갈증으로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오늘날 기계와 의사소통하는 방법은 퍽 쉽다.“노래를 틀어달라”고 말하면 인공지능이 통역해준다.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면 컴퓨터에 ‘편지’를 쓸 수도 있다. 그런데 편지를 채울 글과 규칙이 개발되기 전에는 컴퓨터의 언어인 0과 1을 읽고 쓸 수 있어야 했다. 두 개의 신호는 전선을 바느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