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로"(으)로 총 1,5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나노 상자에 ‘쏙’ 담아 자동차 배기가스 없앤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정 교수팀이 만든 금속유기구조체는 이처럼 다공성 물질이며, 결정 1g의 표면적이 가로 100m, 세로 100m일 정도로 부피당 표면적이 넓다.금속유기구조체는 넓은 표면적을 이용해 특정 기체를 효율적으로 가두거나, 약물을 구조체에 담아 전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금속 이온이나 유기물의 ... ...
- [퍼즐라이프] 정이십면체를 만들어라! 키슬 퍼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할지 알 수 있는 힌트이므로 퍼즐을 풀 때 이 그림을 참고해보세요.앞서 찾은 직사각형의 가로세로 길이 비가 황금비라는 사실도 흥미롭습니다. 그림➌처럼 정이십면체의 한 모서리 길이가 1이면 직사각형의 짧은 변의 길이도 1이고, 긴 변은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오각형의 대각선 길이와 같다는 걸 ... ...
- [매스크래프] 세종대왕과 집현전, 한글이 이토록 수학적인 언어라니!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가운데 중심을 기준으로 180° 돌려도 다시 ㄹ 이 되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ㄷ, ㅌ은 가로축이 기준이고 ㅂ, ㅅ, ㅈ, ㅊ, ㅎ은 세로축이 기준인 선대칭 도형이죠. ㅁ, ㅇ, ㅍ은 점대칭이면서 선대칭 도형이에요. 또 ㄱ을 180° 회전하면 ㄴ이, ㄴ을 180°돌리면 ㄱ이 됩니다. 이는 점대칭 관계라 해요.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제공한다. 대개 이런 해빙 지도의 공간 해상도는 수~수십km다. 인공위성이 지표면을 가로세로 격자로 나눠 촬영할 때 한 칸(픽셀)의 길이가 수~수십km라는 뜻이다.반면 아리랑 5호로 제작하는 해빙 지도는 공간 해상도가 수십m 수준으로 매우 정밀하다. 다만 지금은 아리랑 5호를 활용한 해빙 지도 ...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최대 해상도가 50cm로, 1m인 아리랑 5호보다 높다. 아리랑 7호는 인공위성이 지표면을 가로세로 격자로 나눠 촬영할 때 한 칸(픽셀)의 길이가 30cm인 초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목표다. 채태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위성활용부장은 “우리나라가 운용하는 인공위성을 ...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메이커의 성지, 공방에서 프로젝트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기판은 오디오 앰프였다. 이 기판은 부품을 부착하기가 특히 어려웠는데, 부품 대부분이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3mm, 6mm로 매우 작았기 때문이다. 납땜해야 하는 핀의 길이도 0.4mm 정도밖에 되지 않아 현미경으로 보면서 작업해야 했다. 당시 작업은 쉽지 않았지만, 이때 만든 앰프는 아직도 내 ... ...
- [매스크래프트] #8. 광복절 75주년 특집!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태극기 작도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작도로 태극 그리기 자, 그럼 태극기를 작도해봅시다. 가장 먼저 태극을 그릴건데요, 가로세로의 비가 3:2인 사각형에 대각선을 그어 대각선이 만나는 점을 태극기의 중심으로 둡니다. 그 점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는데, 원의 지름은 태극기 세로 길이의 반이에요. 예를 들어 태극기의 세로가 24cm이면 ... ...
- UAE┃‘희망’을 쐈다! 달 건너뛰고 화성으로 직행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분광기(EMIRS) 등 과학 실험 장비가 달려 있다. 아말은 태양전지판을 펼쳤을 때 세로 3m, 가로 7.9m, 무게 약 1.35t(톤)인 궤도선이다. 기상 악화로 두 차례 연기 끝에 7월 20일 오전 6시 58분 14초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일본의 H2A 로켓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일본은 2012년 발사된 한국의 ... ...
- [수학뉴스] 100년 묵은 내접 사각형 문제 영상통화하며 푼 수학자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비율을 갖는 직사각형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 증명이 맞다면 가로세로 비율이 1인 정사각형이 존재하는 것도 저절로 증명되죠. 이 연구 결과는 5월 19일 온라인 논문 발표 사이트 ‘아카이브’에 올라왔습니다. ... ...
- [별헤는수학] 초신성 사냥꾼 ‘날이면 날마다 오지 않는’ 초신성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기록이 얼마나 정밀한지는 그래프로 그려 보면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그래프의 가로축을 첫 관측 이후 경과일로 두고 세로축을 초신성의 밝기로 둔 뒤 기록된 밝기에 해당하는 위치에 점을 찍으면 다음과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습니다. 관측 기간은 케플러가 훨씬 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