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항공 사진"(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부시게 아름다운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0820
- 허블우주망원경이 지구에서 7200만 광년 떨어진 NGC3324 성운을 찍은 모습이에요. 허블우주망원경의 이미지를 만드는 천문학자들의 모임인 ‘허블 ... 출범한 지 10년 되는 것을 기념해 지난 10월 2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공개한 사진이랍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남긴 유산, 정말 아름답죠 ... ...
- 하나된 유럽, 하나된 우주 유럽우주기구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9
- 로켓이나, 최근 다이아몬드 모양의 소행성 사진을 찍어 보내온 로제타호 등 유럽우주기구에서도 ... 바퀴 도는 기록을 세운 허블우주망원경(오른쪽 사진)도 미국항공우주국과 유럽우주기구가 함께 개발한 망원경이라구.어때? 이만 하면 유럽우주기구에 대해 한번 알아볼 만하지? 고기자의탐방일지 ... ...
- 나사 50주년기념, 최고의 명장면 50어린이과학동아 l200818
- 008년은 미국항공우주국인 나사(NASA)가 태어난 지 꼭 50년이 되는 ... 기념해 나사의 성과와 역사를 가장 잘 보여 주는 사진 50장을 선정했어. 나사의 기념비적인 순간들을 ... 나사는 미국 우주개발을 총지휘하는 곳으로, 항공우주기술부와 우주과학 및 응용부 등 다양한 부서와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어. ... ...
- “와르르~!”북극에 생긴 길어린이과학동아 l200818
- 지도가 바뀌고 있습니다. 최근 독일 브레멘대학교의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촬영한 북극의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서 배가 지나 다니는 항로가 뚫렸다는 걸 알아 냈어요. 특히 북동항로와 북서항로가 모두 뚫려 그야말로 북극은 섬이 되고 말았답니다. 그 동안에도 ... ...
- 화성엔 물이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5
- 화성탐사선 마스 익스프레스가 촬영한 것으로, 사진에는 굽이굽이 물이 흘러 만들어진 화성의 계곡이 잘 나타나 있어요(위). 한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인 MRO가 보낸 사진(왼쪽)을 연구한 과학자들은, 고대 화성에 거대한 호수와 삼각주 지형이 있었다는 걸 알아 냈어요. 이러한 지형은 ... ...
- 우주 리본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0814
- 우주를 떠다니고 있는 이 예쁜 리본은 무엇일까요? 미국항공우주국에서 7월 1일 공개한 이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초신성의 찌꺼기예요. 이 초신성 찌꺼기는 1000년보다 더 오래 전에 별이 폭발하면서 생겼는데, 그 가운데 아주 얇은 부분을 허블 망원경이촬영한 거랍니다. ...
- 우리 은하의 팔은 두 개?어린이과학동아 l200812
- 4개의 나선형 팔을 갖고 있다고 생각해 왔어요. 그런데 최근,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서 우리은하의 나선형 팔이 2개라고 발표했어요. 스피처 적외선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1억 1000만 개 이상의 별을 촬영한 80만 장의 사진을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 방패-센타우루스와 페르세우스 두 자리에서만 큰 ...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과학동아 l200812
- 외에 ISS가 우리나라 상공을 지날 때 한반도를 사진 찍는 일도 중요한 임무였다. ISS는 하루에 지구를 ... IT강국의 면모러시아 가가린 우주센터와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세계 여러 나라 우주인들을 만날 ... 보지 못한 것이 계속 마음에 걸렸다. 한반도 사진을 찍는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카메라 ...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과학동아 l200811
- 마지막 사진을 보냈다. 태양계를 돌아보며 찍은 사진에는 지구가 ‘창백한 푸른 점’으로 찍혀 있었다 ... 지난 18년 동안 지구를 10만 바퀴 이상 돌며 찍은 사진은 75만 장이 넘는다. 과학자들이 ... 7년 X-15가 작성한 음속의 6.7배 기록을 NASA의 무인 항공기 X-43A가 음속의 9.6배에 이 ...
- [천문]거대한 두 은하단의 합병과학동아 l200810
-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암흑물질의 정체를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은하단의 사진을 8월 27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우주에서 눈에 보이는 물질보다 훨씬 많다고 추정되는 암흑물질은 1930년대 존재가 처음 알려졌지만 아직까지 정체가 베일에 싸여 있다. 질량을 갖고 있지만 어떤 빛도 내지 않아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