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문
d라이브러리
"
학위논문
"(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의세상 -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가득
과학동아
l
200503
매운 음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물을 마시며 얼굴을 찡그리면서도 매운 음식을 찾는다. 매운 음식의 핵심은 바로 고추다. 고추가 맵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맵다는 것은 맛이 아니라 통각에 의한 감각이다. 그런데 고추는 왜 매울까. 너무나도 당연해 생각조차 못했던 이 물음 ... ...
23세 이공계 박사 탄생
과학동아
l
200503
국내 최연소 박사 기록이 깨졌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다녔던 정진혁씨는 지난해 12월 30일 미국 뉴욕의 RPI(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공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1981년 1월 생으로 태어난 지 23년 11개월 만에 박사가 된 것이다.종전 기록은 1996년 KAIST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미국 매사추세 ...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01
나는 생전에 특수상대성이론을 생각해내게 된 과정을 여러 차례 이야기했었지만, 그런 이야기 마다 이가 듬성듬성 빠져 있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저승 와서도 이승의 사람들이 나에 대해서 쓴 이야기들을 볼 수 있었다. 얼토당토않은 이야기들도 많았지만 내가 빠뜨린 것을 찾아낸 것도 여럿 있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01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은 전세계에 12명밖에 되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실험적으로 검증된 직후인 1919년 11월 10일자 뉴욕타임스는 이런 내용의 기사를 보도했다. 하지만 정말 그의 이론이 너무 어려워 이를 이해한 사람이 전세계를 통틀어 12명밖에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01
헌신적인 도움에 대해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과 ‘E=mc2’을 발표하던 1905년 박사
학위논문
을 친구 그로스만에게 헌정했다.1912년 8월 연방공대의 교수가 돼 취리히로 돌아온 아인슈타인은 그로스만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만들기 위한 공동작업을 시작했다. 하지만 이들의 공동연구는 최종적인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11
‘쓰레기 처리에 도대체 왜 돈을 쓰지?’이스라엘에서 의학박사학위를 받고 1970년경 미국에서 티로신아미노트랜스페라제라는 효소를 연구하던 아브람 허쉬코 박사는 영문을 알 수 없었다. 이 효소가 분해될 때 세포 내 에너지원인 ATP가 소모되는 것이었다. 세포는 이 효소뿐 아니라 수명을 다한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11
얼마전 막 내린 아테네올림픽 역도 종목에서 아깝게 은메달에 머물고도 시종일관 환한 미소를 보였던 이배영 선수를 기억하는가. 팬들은 그에게 ‘역도계 살인미소’라는 별명을 선사했다. 그럼 과학계 살인미소는? 인터뷰 내내 싱글벙글 웃으며 답하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나노표면연구그룹의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10
산란을 설명할 때도 준용(準用)된다1847~1888 독일의 병리학자 췌도(膵島)를 발견했다1869년
학위논문
《췌장의 현미경적 해부》에서 그가 밝힌 췌장 내의 특수세포집단은 93년 E 라게스에 의해「랑게르한스섬」이라고 명명되었다췌장 내에 섬 모양으로 산재하는 내분비세포군 췌장 전체에 있지만 특히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10
‘미스터 칩’ ‘미스터 디지털’.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52)의 별명이다. 삼성전자 시절 세계 최초로 64메가 D램, 1백28메가 D램, 1기가 D램을 잇따라 개발해 컴퓨터의 기억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려 ‘반도체 신화’를 창조했다고 해서 붙여졌다.국내 최대 기업의 사장을 지내고, 현재 국가 행정부 ... ...
플라스마로 중금속 가려낸다
과학동아
l
200410
“중금속이 수달의 서식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 중입니다.” 이화여대 과학기술대학원 환경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조희선씨.책상 위에는 그가 지난 1월부터 경남 거제에서 채취한 수달의 배설물이 담긴 샬레가 즐비하게 놓여 있었다. 도대체 배설물에서 중금속을 어떻게 찾아낸다는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