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학교
연대
연세대학
d라이브러리
"
연세대
"(으)로 총 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02
96년
연세대
에 부임하자마자 정치외교학과 김기정 교수가 내 소문을 듣고 찾아왔다. 그는
연세대
최고의 보컬로 유명했는데, 나와 노래 실력을 겨루고 싶어 했다. 결국 우린 만나 노래를 불렀고 지금은 손잡고 함께 노래방 가는 사이가 됐다. 결투의 결과는 김 교수를 생각해 비밀로…(웃음).3. 가장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02
‘ 투모로우’처럼 지구에도 갑작스럽게 빙하기가 찾아올 수 있을까.
연세대
대기과학과 노의근 교수는“영화의 설정처럼 멕시코만류가 갑자기 멈추면 국지적으로 유럽이 추워질 수 있지만 전지구의 평균기온이 낮아지는 빙하기를 불러올 가능성은 낮다”고 지적했다.실제로 간빙기에서 ... ...
대한민국 과학기술 이끌어갈 '알파우먼' 삼총사
과학동아
l
200801
2003년 산업공학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만들어 청소년들을 자신의 연구실에 초대했고
연세대
공대에‘여성과 산업 공학’이란 과목을 개설하기도 했다. 2005년 부터는 와이즈 멘토링(WISE Mentoring)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후배 여성과학자에게 자상한 멘토 역할을 하고 있다. 1980년대 이미 과학수사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01
화강암을 사용했다. 화강암은 강도가 높은 석영이 많이 포함됐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다.
연세대
지구시스템학과 권상훈 교수는 “다른 돌과 달리 화강암은 망치로 세게 내려쳐도 망치가 튕겨나갈 만큼 단단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돌로 쌓은 성벽은 돌과 돌의 이음새가 딱 들어맞지 않아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01
무산소 씨는 성형외과에서 보톡스 주사를 맞았다. 원래 고운 피부를 가졌지만 눈가에 주름살이 하나라도 있으면 못 참는 성격이다. 피부가 탱탱해진 그는 그날 저녁 우아한 모습으로 할인마트에서 겨우내 먹을 김치를 샀다. 손에 김치 냄새가 밸세라 재빨리 냉장고에 김치를 넣었다. 며칠 뒤면 톡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01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영국 웨일스대에서 습지생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학자에게 연구능력 못지않게 글쓰기 능력이 중요하다는 신념으로 ‘과학작문 특강’ ‘영어논문작성법 특강’등 활발한 강의를 하고 있다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12
바뀌어도 특정온도에 이르면 변형되기 전 모습으로 되돌아오는 금속을 말한다.
연세대
의류환경학과 김은애 교수는 형상기억합금 용수철로 개량 방화복을 만들었다. 김 교수는 니켈(Li)과 티타늄(Ti)을 섞은 ‘니티놀’ 재질 용수철을 소방복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끼워 넣었다. 평상시에는 보통 옷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12
분포하지 않는 지층을 가리켜 대결층이라고 한다 그러나 최근 강원도 정선부근 지층에서
연세대
이하영교수가 실루리아기 화석을 발견, 대결층의 개념이 바뀌고 있다어떤 일정한 지층에서만 산출돼 그 지층의 지질연대를 나타내주는 화석을 말한다 실제로 이 표준화석을 통해 다른 생물들의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12
외유모세포가 요동치며 자극받고 이때 생긴 전기신호가 청각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된다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문인석 교수는 “하루에 8시간씩 90dB의 소리에 간헐적으로 노출되면 청력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보다 5dB씩 높은 소리에 노출될 때 노출 한계시간은 절반씩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12
손등은 같은 면적에 9개밖에 없다.손가락을 예민하게 만드는 또 다른 요소는 뇌다.
연세대
의대 신경과 김승민 교수는 “아무리 많은 감각정보를 인지해도 뇌에서 이를 처리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라며 “인류는 손가락의 감각과 움직임을 담당하는 뇌의 부위가 유난히 발달했다”고 말했다.뇌는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