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장
지팡이
치장
장식
제단
신단
손지팡
d라이브러리
"
단장
"(으)로 총 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을 이겨 내는 유전자 고향곡 작곡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2
여러 악기가 모여서 아름다운 화음을 만들어 내는 교향곡과 같이 많은 유전자들이 모여 다양한 역할을 해 건강한 세포와 몸을 유지하도록 한 ... 찾아보세요.
단장
님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죠. 좋아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는 유향숙
단장
님처럼 멋진 일을 하는 친구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
출연연, 억대 연봉 과학자 줄이어
과학동아
l
200502
연구논문을 게재했다. 홍 박사는 산업자원부 신재생에너지사업 중 수소·연료전지사업단
단장
으로 선임돼 국내 대체에너지 분야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강 박사는 고체형 유기태양전지의 성능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향상시켜 상용화 시기를 크게 앞당겼다.KIST는 한 해 동안 뛰어난 성과를 낸 ... ...
“꿈을 담아 쏘아 올린 로켓!”-채연석 원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2
박사1988년 천문우주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199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소 KSR-Ⅲ 사업
단장
2002년-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유별난‘로켓 소년’채연석저기 도랑에 있는 녀석, 채씨네 아들 연석이 아냐?”“물에 다 젖은 신문에 뭐가 있다고 저렇게 열심히 뒤진대?1960년 초반 충북 청주에는 동네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10
천연가스나 원자력을 이용하는 생산방식 역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한계가 있다.김종원
단장
도 이런 부분을 인정한다. “자원고갈로 새로운 에너지 시대가 열리게 되겠지만 수소가 얼마만큼 주도할지는 이런 기술적인 난제들이 얼마나 빨리 해결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그러나 한편에서는 이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10
석유 수급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부 수소에너지개발사업단 김종원
단장
도 “2014년부터 원유의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0년 안에 진짜 ‘석유대란’ 이 시작될 수 있는 것이다.해외에서 직접 생산한 석유 4% 그쳐석유 대란을 피할 수 있는 근본적인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09
뇌하지만 생각하는 로봇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KAIST 뇌과학연구개발사업
단장
인 이수영 교수는 “똑똑하지 않은 로봇은 미래에는 불필요하다”고 말한다. 이것이 현재 우리가 풀어야 할 ‘로봇 딜레마’ 다. 그는 “로봇이 스스로 무엇이 부족한지 알고, 이를 질문한 후 자신의 약점을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09
전문가들은 4세대 원자로가 ‘원자력 르네상스’ 를 이끌 것이라고 자신한다. 장문희
단장
은 “4세대 원자로라고 해서 전혀 없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존재하며 부분적으로 가능한 기술을 오랜 기간동안 안전하게 쓸 수 있도록 개선하고 안정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1세대 ... ...
1억원 있으면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0407
상업용 민간우주선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영국시민우주프로젝트의
단장
인 스티브 베넷은 부러움과 함께 이번 비행 성공을 축하하면서 18개월 뒤에는 자신들의 로켓을 쏘아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NASA 없이도 우주개발 가능 이번 우주비행 성공은 여러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갖고 있다.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07
무엇일까?기자는 이런 궁금증을 하나하나 풀어보고자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BK21사업
단장
김구 교수를 특별히 모시고 시사회에 참석했다. 영화는 컴퓨터 그래픽과 특수효과를 동원해 다양한 기상이변이 문명을 파괴하는 모습을 시종일관 꿍꽝거리는 효과음과 함께 보여줬다.엔딩 화면이 나오고 ... ...
자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
과학동아
l
200407
자외선우주망원경 갤렉스(GALEX)가 발사됐다. 갤렉스는 연세대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
단장
이영욱 교수)이 우리나라 최초로 미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개발한 망원경이다. 발사되고 약 1년이 지난 6월 10일 연구단은 갤렉스가 관측한 또다른 우주의 모습을 공개했다.이번에 공개된 우주모습 가운데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