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470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스탠퍼드대 응용물리및생물학과 교수가 광집게를 개량해 인간이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힘인 피코뉴턴(pN·1pN은 1조 분의 1N) 단위의 힘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근육 단백질인 액틴과 미오신 같은 분자 모터의 힘이나, DNA 등 유기체의 기계적인 특성을 연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동일 분야 ... ...
외국 발사체 빌려탔던 ‘우리별 1호’… 3년내 독자기술로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일본 유럽 인도 중국 등 6개국만이 발사에 성공한 엔진이었다. 2002년, 0.1t의 추력을 내는
작은
분사기를 처음 개발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은 16년 뒤 이들을 720개 모아 75t의 강한 추력을 내며 섬세한 통제까지 가능한 독자적인 엔진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기에 이르렀다. 지난달 28일 이 엔진을 ... ...
“인절미는 저리 가라. 나는 밀가루 반죽”
팝뉴스
l
2018.12.08
반죽처럼 보인다. 포인트는 소파와 탁자 사이에서 늘어진 배다. 동그랗게 부풀어 오른
작은
풍선 같다. 몸에 얼마나 살이 많은지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겠다. 뚱뚱하며 게을러 보이는 이 강아지는 귀엽다는 평가와 함께 부럽다는 말도 듣는다. 한없이 마음 편하게 쉬는 건 지친 현대인들의 ... ...
달 뒷면에 사상 첫 착륙선…中 ‘창어 4호’ 8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07
光明)’ 등을 이용해 달 토양에 식물을 심는 온실 실험도 처음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작은
속씨식물인 애기장대를 달 토양에 심고 온실을 만들어 적정 온도를 맞춰준 뒤 중력이 지구의 16.7%에 불과한 달 환경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지 시험한다는 것이다. 앞서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식물을 키운 ... ...
암흑물질 '윔프' 발견 오류 가능성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22억 년 가야 하는 거리에 위치한 '아벨 1689' 은하단을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영상. 가운데에 마치 렌즈로 확대한 듯 은하 분 ... 건설하고 있다. 더 정확하게 암흑물질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성이 다른(질량이
작은
) 암흑물질 탐색에도 나설 계획이다. ... ...
“성간천체 ‘오무아무아’ 외계 인공물 아닐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외계 인공구조물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당시 연구팀은 “태양계는 우주에서 너무나
작은
천체인데 여기에 접근한 데에는 계획적인 의도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지만, 이번 연구로 일단 가능성은 줄어든 상태다. 하프 연구원은 “비록 오무아무아의 인공 신호 검출에는 실패했지만, 이번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질량분석기로 연소과정에서 나오는 물질을 분석했고 그 결과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작은
라디칼이 화학반응을 통해 점점 큰 라디칼로 바뀌는 것이었다. PAH처럼 탄소 골격 사이에 이중결합이 여러 개 있을 경우 전자들이 공명(resonance)이라는 양자역학적 특성을 띠면 안정한 분자가 된다. ... ...
인류 도구 사용, 동아프리카 전파설 ‘흔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이상한 타원체 모양의 도구가 여럿 발견된 점도 전파설에 의문을 갖게 하는 증거다.
작은
소의 앞다리뼈 화석에 홈이 파여 있다. 석기를 이용해 살을 발라낼 때 생긴 흔적이다. 아래는 확대한 사진. - 사진 제공 사이언스 당시 인류에 대한 이해도 바뀔 전망이다. 연구팀은 석기와 함께 석기로 ... ...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빙하 층에서 충돌 당시 녹아내렸던 물질들을 찾아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세포내 물질이
작은
물방울형태로 생체내 현상에 관여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사이언스 제공 ■세포 속 물방울의 역할 세포질에 물방울 형태로 응축된 물질이 발견됐지만 그 역할은 알려지지 않았다. 지난 4월 미국 ... ...
“16년 전부터 매달린 엔진 드디어 날아...2021 누리호 향해 중단 없이 연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1.30
이뤘죠.” 이번에 가장 주목을 받은 75t급 엔진을 맡았던 한 팀장은 “15년 전에 설계한
작은
분사기가 진짜로 커다란 엔진이 돼 날아간 게 믿기지 않는다”며 웃었다. 그는 2003년 나로호 개발과 동시에 30t급 엔진을 추가로 연구하며 산화제와 연료를 섞어 화염을 내는 ‘분사기’를 개발했다. 이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