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565건 검색되었습니다.
임상시험 중이라는 국산 코로나19 백신 5종,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면역원성의 유효성을 평가한다. 셀리드의 백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유전
자를 아데노 바이러스 주형에 넣어 제조한 '바이러스벡터 백신'이다. 한림대 강남성심병원과 고려대 구로병원, 고려대 안산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실시한다. 1상 단계에서는 건강한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 ...
"43만년 전 인간도 혹한기 버티려 겨울잠 잤다"
연합뉴스
l
2020.12.21
갈라고원숭이도 겨울잠을 잔다"면서 "이는 (동면으로) 신진대사를 늦추는
유전
적 기초와 생리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게 남아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영국 노섬브리아대 인류학 인류학자인 패트릭 랜돌프-퀴니는 "(인류가 겨울잠을 잤다는) 주장은 흥미롭지만, 논쟁을 유발할 것 ... ...
정은경 "내주에도 1000~1200명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4명이다”며 “영국에서 유입한 확진자로부터 얻은 검체 21개에서 바이러스 분리해
유전
자 검사를 한 결과 아직 코로나19 변이체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현재 국내로 입국하는 입국자를 2주 동안 격리 조치하고 있다”며 “영국 입국자는 격리 해제 전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 ... ...
인간도 곰처럼 겨울잠 잤을까
2020.12.21
두개골(왼쪽)과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오른쪽).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에게 면역 등
유전
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위키미디어 제공 연구팀이 이들 시마인의 유골을 분석한 결과 규칙적으로 성장이 느려졌다가 재개된 흔적이 확인됐다. 또 칼슘 흡수가 감소하고 ... ...
[팩트체크]영국 '변종' 바이러스 대신 '변이체'가 정확한 용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영국의학저널’ 12월 16일자에 따르면 VUI-202012/01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17군데
유전
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났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돌연변이는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확인된 N501Y 돌연변이다. 13일 기준 영국의 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이 돌연변이가 확인된 사람은 1108명이다. ... ...
"이처럼 많은 돈과 힘 지식 쏟은 적 처음" 사이언스, 올해의 과학 성과로 코로나19 백신 꼽아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인공지능(AI) 알파폴드2와 올해 노벨화학상을 받은 크리스퍼
유전
자 가위를 이용해
유전
자를 편집하고 혈액병을 치료한 첫 임상 결과 등을 올해의 과학 성과로 꼽았다.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4만 4000년 전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예술 벽화와 우리 은하 안에서 처음으로 포착된 ‘빠른 ... ...
진통제로 쓰는 '조개 속 독소' 대량 배양 기술 국산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채집하던 중 동중국해 한가운데서 희귀한 와편모조류를 발견했다. 국내로 가져와
유전
자와 형태를 분석한 결과 이 플랑크톤이 100년 전 학계에 보고된 이후 한 번도 발견된 일이 없는 센트로디니움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지난해 7월 국제학술지 '프로티스트'에 이를 알렸다. 연구팀은 이 ... ...
WHO 유럽사무소 “코로나19 변이체 억제할 조치 강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안으로 들어가 복제가 된다”며 “이런 복제가 일어날 때 마다 바이러스마다 새로운
유전
물질이 생긴다”고 말했다. 다만 이 과정을 겪으며 새로운 돌연변이는 이전 돌연변이보다 몸에 침투하는데 확실히 더 적합해 진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변이를 겪으며 인체에 침투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 ...
美, 화이자 이어 모더나 백신도 긴급사용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2.20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결실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이 1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
체와 염기서열을 공개한 뒤 빠르게 백신을 설계했고 임상을 가속화하기 위한 연방 프로그램을 가동하며 1년이 채 소요되지 않는 시간에 백신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 ...
[과학자의 언어,대중의 언어]④더 나은 과학용어를 만들어야
2020.12.20
우리말과 어울리지 않는 과학용어는 아무리 정확한 것이라고 도태될 수밖에 없다. ‘
유전
체’와 같은 성공 사례를 적극적으로 찾아내야 한다. ‘게놈’이나 ‘지놈’은 아무리 노력해도 우리말에 어울린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자칫하면 과학용어의 의미기 심각하게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