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TMI'를 들어볼 테야? 둠칫둠칫 ‘움짤’ 완전정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짤방을 모아두고 적절한 타이밍에 투척해 웃음 폭탄을 터뜨리는 게 취미지. 여러 짤방 중에서도 움직이는 ‘움짤’이 특히 효과가 좋아. 그런데 6월 15일이 움짤의 주요 파일 형식인 ‘GIF’가 생긴 지 33년 되는 날이래! 그래서 준비했어, 움짤의 과학 TMI!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내 ‘TMI'를 ... ...
- 두근두근, 움짤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될까요? 미래의 움짤은 ‘사진 한 장’으로도 만들 수 있다?움짤은 보통 원본 영상 중 일부를 잘라 GIF 형식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GIF를 이룰 이미지들을 플립북 형태로 한 장, 한 장 제작해 만들어요. 대부분의 이모티콘과 스티커가 이런 방식으로 탄생하지요.이처럼 번거로운 ... ...
- [한장의 과학] 배고프면 동족도 꿀꺽! 알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특히 알로사우루스의 이빨 자국이 나 있는 뼈 화석 중 17%는 육식공룡의 것으로, 심지어 그중에는 같은 알로사우루스도 있었어요. 알로사우루스가 동족을 잡아먹었다는 증거였죠.그런데 이상한 점은, 이빨 자국이 발가락, 척추 등 영양가가 떨어지는 부위의 뼈에 남아 있었다는 거예요. 연구팀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2화. 소중한 수학 가족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찾는 게 얼마나 즐겁고 감사한 일인지 잘 아실텐데요, 2020년을 마무리하며 각자 소중했던 수학 친구, 가족에게 고마운 인사를 하는 건 어떨까요? 그리고 2021년에는 저처럼 좋은 수학 가족을 계속해서 만날 수 있기를 기원하겠습니다. 한 해 동안 재미있게 읽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2021년 새로운 ... ...
- [기획] 폴리매스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유명한데요, 폴리매스에서는 누가 문제를 가장 많이 풀었을까요? 수학자가 출제한 문제 중 8개의 문제를 푼 신예준 회원과 함께 풀고 싶은 문제 91개를 해결한 이민건 회원이 에르되시상의 영광을 안았습니다. 앞으로도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슈퍼히어로가 돼주세요! 많은 회원이 수학동아와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취득할 수 있는지였죠. 그 셋을 모두 충족하는 직업이 헬스트레이너였습니다. 이 중 첫 번째 조건은 제가 수학 교사였어서 더 잘 충족할 수 있었습니다. 헬스장에서는 몸의 상태를 알기 위해 ‘인바디(InBody) 측정’을 합니다. 헬스트레이너인 저는 이 결과를 보고 운동 프로그램을 짜는데, 이때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일입니다. 2018년 타계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는 지구가 당면한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로 기후변화를 꼽으며, 최고의 해법은 핵융합 에너지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를 얻는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죠. 아직까진 그 누구도 가 보지 못한 길이지만, 온 인류가 힘을 합쳐 해낼지 또 누가 알겠습니까.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것이 목표다. 국립생태원 연구팀은 높은 온도와 높은 CO2 농도 환경에서 구상나무 유전자 중 어떤 부위가 발현되는지를 2019년 7월 23일 국제학술지 ‘식물 생명공학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07/s11816-019-00553-0 김동욱 국립생태원 전임연구원은 “구상나무가 갑작스러운 기후변화에 대처할 때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정해진 기간에 계획했던 실험을 모두 마치기 위해 연구원들은 끼니도 잊고 실험에 열중했다.김 부장은 “한국의 핵융합 기술 역사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수십 년 이상 짧지만, 훌륭한 연구원들과 뛰어난 장치 덕에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까지 기술 수준이 성장했다”며 “미래 ...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보인다. 하지만 세포와 상황마다 그 특성이 매우 이질적이어서 한 세포에서 굉장히 중요했던 유전자가 다른 세포에서는 아무 기능을 하지 않거나 반대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희망을 품고 연구에 최선을 다하되, 실용적인 적용 방안에 대해서는 충분히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는 이유다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