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확보가 관건 양자지폐를 포함해 더욱 완벽하게 양자정보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도 심해지고 있다.미국의 경우 2000년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LANL)에서 48km거리의 광통신을 이용한 양자암호 전송시스템을 구현했다. 그 경험을 살려, 2005년 미국 스탠포드대와 일본의 통신그룹 ...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떨어져 나온 구슬이거나 텍타이트다. 텍타이트는 큰 운석이 떨어질 때 충돌지점의 표면 토양이 순간적으로 녹아서 생기는 물질이다.끈기를 갖고 분리한 ‘아마도 우주먼지’인 입자들은 다시 일시와 장소를 적어 따로 보관한다. 이렇게 분리한 입자들이 진짜 우주먼지인지는 어떻게 확인해야 할까?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합성을 하는 남세균은 지금으로부터 약 20억 년 전 지구 표면을 우점하는 ‘대세’가 됐다. 그 결과 생태계는 어마어마하게 바뀌었다. 남세균 한 종이 진핵생물과 내공생하며 엽록체가 되면서 녹조류, 홍조류, 회조류와 같은 조류가 발생했다. 산소호흡을 하는 생물이 등장하고,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역사 역시 미나의 세계만큼이나 광대할 것이고 그 역시 무한한 가능성의 우주에 찍힌 한 점에 불과할 것이다. 찾다보면 그 중 어딘가에 시간의 수원에 연결된 시간선이 있을지도 모르지. 하지만 그걸 어떻게 찾는단 말인가.지금 미나의 고민은 보다 현실적인 것이었다. 이 시간선은 언제까지 신에게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알려져 있다.재미있는 점은 만데나 사람들의 60%가 자신의 수면에 만족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한국의 직장인 32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서는 76%가 ‘잠이 부족하다’고 답한 것과 대조적이다. 삼손 박사는 “선진국의 사람들이 만데나 사람들보다 많이,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 안에서 전자들이 마치 광자처럼 행동할 거라는 사실은 생각지 못했다. 그게 재밌는 점이다.Q 페르미 호가 무엇인가.바일 준금속의 표면에는 특별한 상태가 존재한다. 전자들이 물질 내부에서는 특별한 위상수학적인 상태를 가지는데, 표면에서 그게 깨진다. 공기에서의 전자와 물질 속에서의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치는 타법을 바꾸면 음색이 달라진다’고 믿었다. 반면 음향학자들은 물리학의 관점에서 피아노의 음색을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그러나 20세기 후반 피아노 건반을 치는 방식에 따라 최종적으로 현을 때려 소리를 내는 해머의 휘청거림이 근소하게 바뀌면서 음색이 달라질 가능성이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게 순서가 맞지 않았던 것이다. 한편 외계인이 우리와 전혀 다른 모습일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아 비판을 받기도 했다. 프로이덴탈도 “린코스로 대화하려면 정신 상태가 인간과 비슷하다고 가정해야 한다”고 밝혔다.하지만 린코스가 의미가 없던 건 아니다. 미국 잡지 ‘더 애틀란틱’의 ...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 아스피린도 먹었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치석에서 진통제로 쓰이는 아스피린 성분과 항생제인 페니실린 곰팡이가 발견됐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이 네안데르탈인이 당시 입 안에 염증을 앓고 있었으며, 통증을 줄이고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일부러 약물을 먹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예컨대 원에 있는 모든 점은 회전변환해도 원 위에 있다. 하지만 사각형 위에 있는 점들은 그렇지 않다. 원은 회전변환에 대해 대칭성이 크고 사각형은 대칭성이 작다.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어떤 집합에 있는 원소들이 특정한 연산(변환)에 대해 닫혀 있다는 뜻이다.닫혀 있다는 말은 연산을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