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억의 메커니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기억을 도식화된 틀에 새로운 정보로 끼워넣는 일이다. 만약 이 틀을 잘못 끄집어 내어
외부
의 사건을 이해하고 기억하려고 한다면 그만큼 어려운 일이 될 수밖에 없다.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해의 틀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기 때문에 이해가 좀 더 효율적으로 될 수 있다. 모든 정보를 ... ...
적조현상 물고기의 떼죽음 식수오염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식물성 플랑크톤의 대발생은 다량의 유기물을 수계 내에 유입시키는 결과를 낳고, 이는
외부
로부터의 유기물에 의한 오염과 함께 상승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수계 내에 유기물의 양이 많아지면 이를 분해하는 미생물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미생물이 수계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동안 ... ...
VDT증후군의 실체를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더욱 가속화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니터의 윗쪽에 덮개(후드)를 씌우거나
외부
조명의 반사가 덜 되는 곳에 컴퓨터를 자리잡게 하는 노력들이 필요하다. 양면에 무반사코팅을 한 보안필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눈을 비롯해 인체 전반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 ...
건축자재의 신소재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때문에 형틀의 마모손실률이 낮으며 훼손된 부분이 있다손 치더라도 내용물이 좀처럼
외부
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매우 길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자체에 30%정도의 동공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또 시공작업이 간단 신속해 인건비 절감효과가 크다. 더욱이 철근과 ... ...
긴장과 불안 어디에서 오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한다. 자극에 대한 반응그러면 이러한 스트레스가 왜 생기는 것일까. 이는 우리가
외부
로 부터의 자극에 적응하여 생존해 가기 위해서다.고무공을 예로 들어보자. 고무공은 손가락으로 누르면 움푹 들어간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기 위해 손가락을 밀어내는 힘이 작용한다 ... ...
유리인가, 슬래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교역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유리제작 기술을 습득했다는 것이다. 그의 주장 역시 유리의
외부
전래설에 머무르고 있어서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논란의 소지가 남아이보다 조금 앞서 1987년에 몇 사람의 화학자팀이 중성자 방사화 분석법과 다변량 해석법을 활용 고대 유리제품을 분류하고 그 ... ...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지금까지 설명해 온 알레르기 피부질환과는 사뭇 다른 특성을 갖는다. 말하자면
외부
적인 원인과는 무관하고 전적으로 선천적인 체질에 의한 피부 자체의 질환인 것이다.이 피부염이 있는 아이들은 몹시 가려워 하고 쉴사이 없이 피부를 긁어 댄다. 때문에 목 팔꿈치 무릎 엉덩이 등과 같이 피부가 ... ...
잘못된 경종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피카르에 의해 특별히 주의깊은 연구가 보고되었다. 그들은 온도변화, 마찰 또는 다른
외부
영향에 의해 달라지지 않을 것을 주의깊게 보증하는 조건 아래 자이로스코프를 분당 최고 8천까지 회전의 속도로 돌렸다.그들은 자이로스코프가 어떤 방향으로 회전하든 모든 방향에서 똑같이 행동했으며 ... ...
「삐삐」의 친구들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방법이다. 이 방식을 응용 할 때 꼭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 무선신호가 너무 클 경우 지역
외부
까지 신호가 전달돼 혼선이 생길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신호의 출력량을 제한해야 한다는 점이다.이 방식을 이용하면 데이터의 자동전송장치, 공업용 기기의 원격제어장치, 개인용 컴퓨터 등의 ... ...
우주를 보는 또 하나의 창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할애해 서울대 연세대를 비롯한 5개대학의 교수 및 대학원생들과 함께 성간구름과
외부
은하 등의 관측을 주제로 한 6개 연구과제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서브밀리파 기술로 발전현재 세계적으로 우주전파 관측은 센티미터 영역에서는 독일의 1백m 호주의 64m, 밀리미터 영역에서는 일본의 45m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