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하얀 눈밭에서 춤을 추는 두루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멀리서 보면 마치 춤을 추는 것 같지요. 두루미는 국제적인 희귀종으로, 지구상에 약 1만 5000마리 정도만 남아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한강 하구에서도 많이 발견됐지만, 주변 지역이 개발되면서 지금은 강원도 철원과 비무장지대에서만 볼 수 있지요. 앞으로도 계속 두루미가 겨울에 ... ...
- [과학뉴스] 인공 DNA로 단백질 만들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4개와 새로운 염기 X, Y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대장균에 주입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약 3년 만에 인공 염기를 가진 대장균이 아미노산을 합성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기존의 아미노산은 4개의 염기 중 3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가령 글루타민은 ‘CAA’, 리신은 ‘AAA’ ‘AAG’의 조합으로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실험으로 확인하고 현재 관련 특허를 출원 중이다. 대장내시경 검사 권고검사를 받고 약 3주가 지난 뒤 결과가 나왔다. 분석 결과에는 낯선 미생물 이름이 40종가량 적혀 있었다. 위장질환을 유발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정도만 눈에 익었다. 7장에 걸친 분석 결과에서 맨 마지막장에 질병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년 영국이 12번째 국가로 참여하면서 12개국의 합작품이 됐다. 건설 비용만 12억2000만 유로(약 1조5700억 원), 완공까지 10년이 걸린 거대 프로젝트다. E-XFEL의 진짜 볼거리는 지하에 있다.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하는 선형가속기를 지하 6~38m에 터널을 뚫고 설치했다. 포항에 있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등의 감정 변화가 심해지기도 합니다. 또 면역을 억제시키다 보니 자연스레 면역력이 약해져 감염 위험성이 있는 곳은 되도록 가지 않아야 하며, 음식도 가려 먹어야 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이 꽤나 많습니다. 심장을 이식 받은 김과동은 평생 면역억제제를 먹어야 합니다. 새로운 삶을 살게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000분의 1초)의 짧은 시간 단위로 뉴런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였습니다. 이 논문은 약 10년간 무려 2799번이나 인용될 만큼 신경과학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고, 이 논문으로 칼 다이서로스 교수는 ‘광유전학의 창시자’로 불리게 됐습니다. 이후 살아있는 동물에게 채널 로돕신-2를 ... ...
- 세상을 이루는 물질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낮은 성운에서 탄생한다. 이는 이 지역의 중력이 커서 쉽게 수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성운의 온도가 높으면 그곳에 존재하는 기체 분자들이 활발하게 운동해 흩어지기 때문에 더 큰 질량의 덩어리가 될 수가 없다. 따라서 온도가 낮고, 밀도가 높은 성운은 별이 탄생하기에 가장 적합한 지역이 ... ...
- 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널리 쓰이게 될지는 아직 모릅니다. 쉽고 안전하지만, 낯선 거래 방식인데다 1초에 약 2만 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신용카드에 비해 가상화폐는 1초에 7건 정도밖에 처리를 하지 못할 정도로 느리기도 하지요. 아흐마디뿐 아니라 여전히 문화 차이 때문에 또는 은행을 지을 수 없을 정도로 사는 곳이 ... ...
- 두리안과 잭푸르트, 반전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가까이 가고 싶지도 않게 만드는 녀석이랍니다. ‘지옥의 냄새’라고도 불릴 만큼 고약한 두리안의 냄새를 동물의 배설물이나 썩은 양파 냄새와 비교하기도 해요. 조금 과장하자면 과일계의 스컹크라 불러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가시로 덮인 두툼한 껍질을 칼로 쪼개고 나면 노랗고 부드러운 ... ...
- [과학뉴스] 손바닥만 한 유령입자 검출기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날아오는 방사선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 많은 양의 입자가 생겨요. 이때 수명이 약 100만 분의 2초로,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존재하는 ‘뮤온’도 만들어지지요. 뮤온은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고 그대로 물체를 통과하기 때문에 ‘유령 입자’라고 불리기도 해요. 그동안 뮤온을 검출하려면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