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MEMS는 미래기술의 해결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굵기의 8분의 1만한 거울을 사용하면 화소 사이의 간극을 없애 시야각을 넓히고
반응
속도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 거울의 측면에서 빛을 비추면 움직이는 거울의 각도에 따라 화면에 빛을 모으거나 어둡게 할 수 있다. 이 거울이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소자’(Digital Micromirror Device)다.현재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붙여 다시 분젠버너 하부의 산화불꽃[酸化炎]으로 가열하면 청색 또는 청록색의 불꽃
반응
이 일어나므로 할로겐의 검출이 가능하다 기판 위에 구성된 회로소자와 그 상호접속이 박막으로 이루어진 집적회로 저항·콘덴서·코일 등 회로요소를 세라믹스나 플라스틱 등 절연물 기판에 배치하여 회로를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주로 움직인다. 이에 대한 한 가지 해석은 논리적인 판단을 관장하는 좌뇌와 감성적인
반응
에 관여하는 우뇌의 기능이 분화돼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또 다른 가짜 표정의 특징은 정점(peak)에서 표정이 유지되는 시간이 길다는 점이다. 정점에서 평상시 표정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도 길고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일어나는 초고속 현상을 밝힌 공로로 노벨상을 받았다. 펨토초의 짧은 빛을 이용해 화학
반응
의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을 들여다보는데 성공한 것이다. 그 뒤 레이저의 펄스폭을 줄이는 경쟁에 가속도가 붙기 시작했다.남 교수는 “앞으로의 목표는 아토초의 펄스를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 ...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머리가 나쁜 사람을 더 이상 ‘새대가리’라고 부를 수 없게 됐다.유럽의 인식신경과학 지중해연구소와 국립중앙과학연구소는 비둘기가 1000개 안팎의 그 ... 못했다. 두 동물 모두 연구팀의 예상보다 기억능력이 매우 뛰어났으나 두 동물이 그림에
반응
하는 방식과 기억하는 양은 달랐다 ... ...
아낌없이 주는 돼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뒤 24시간 안에 일어나 이식한 조직을 죽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면역거부
반응
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아예 제거한 돼지를 만든다.작년 하버드대 이식생물학연구센터는 면역거부를 일으키는 유전자(α-Gal)를 제거한 돼지의 심장을 원숭이에 이식해 179일 동안 생존시키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관찰했다.그 결과 이 부위가 얼굴 뿐 아니라 다른 물체에도
반응
을 나타냈다. 이는 방추상 얼굴 부위가 얼굴 인식만을 관장하는 부위가 아니라는 말이다.현재 과학자들은 얼굴을 보고 누구인지 가려내는 부위와 표정의 변화를 알아차리는 부위가 다르다고 생각한다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있다. 글쓰기다. 지난해 4월 서울대 글쓰기교실에서 과학 글쓰기에 대해 특강을 했는데,
반응
이 아주 좋았다. 주변에서도 “글 참 잘 쓰는 과학자”라는 평을 많이 듣는다.그의 글쓰기 노하우는 의외로 단순하다. 간결하고 명확하게 쓸 것, 용어를 통일할 것 그리고 논리적인 연결에 집중할 것. ... ...
주식투자에서 실패 않는 법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주식매매를 정지시키는 제도)가 발동됐다.그런데 동일한 충격임에도 거래소시장의
반응
은 달랐다. 코스닥시장의 경우 전일 대비 종가가 8.21%나 떨어졌지만, 거래소시장은 2.41% 하락하는데 그쳤다. 코스닥시장은 거래소시장에 비해 규모가 작은 벤처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시장의 충격에 더 민감했던 ... ...
슈퍼독감의 조상, 조류인플루엔자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퍼졌을 때 가금류 살처분에 참여했던 2109명의 관계자 중에서 9명이 혈청검사에서 양성
반응
을 보였다. 다행히 특별한 증상은 없었다. 그렇다고 안심할 일은 아니다. 우리나라를 찾아온 조류독감(H5N1)은 1997년 홍콩에서 이미 6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2006년까지 전세계 260명이 감염됐고 155명이 사망했다.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