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정비결 과학인가 재미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10진법과 12진법을 합하면 60진법이 되는데(10과 12의 최소공배수가 60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
로 10간과 12지를 합친 것이 바로 60간지다.2002년은 임오년인데, 최소공배수인 60년이 지난 2062년이 되면 다시 똑같은 임오년이 된다. 그런데 하나의 사주팔자는 운명이 똑같이 결정된다. 따라서 사주팔자에 ... ...
한국여성 과학계 참여 10%도 못미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얻었을 뿐이었다"고 말한다. 그가 일자리를 구한 것은 그 후 반년이 흘러서였다.김박사도
마찬가지
다. 박사취득 후 김박사는 미국대학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었는데, 남편이 그 뒤 국내에서 자리를 구해 함께 귀국했다. 이때 그가 구할 수 있었던 것은 단지 임시직이었다. 뿐만 아니라 2년 반이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인간의 문명으로 되돌아온다. 두 영화가 갖고 있는 유일한 공통점이다.다른 모든 동물과
마찬가지
로 인간 역시 현재를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완벽한 조건을 갖고 있더라도 인간은 과거와 관계가 단절된 삶을 살아갈 수 없다. 과거가 없고 관계가 없다면 인간의 존재가치 역시 없어지는 ... ...
정전기 성의 세관문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공중에 뜨는 이유는 무엇일까털가죽이나 화장지로 마찰시킨 플라스틱 막대는 비닐 끈과
마찬가지
로 (-)전기를 띤다. 따라서 공중으로 던진 비닐 끈이 바닥으로 떨어지기 전에 플라스틱 막대를 비닐 끈의 아래 부분에 가까이 가져가면 서로 척력이 작용해 비닐 끈을 공중에 둥둥 띄울 수 있다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끌어안듯이 받는 경우와 같다.몸의 긴장을 풀고 넘어질 준비가 다 됐으면 스키와
마찬가지
로 머리가 산 위를 향하도록 넘어져야 큰 부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앞으로 넘어질 경우에는 손바닥을 사용해야 한다. 손으로 땅을 쓸면서 넘어지면 손바닥과 눈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의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위치한 9.15m 거리에서 자신의 공이 휘도록 연습했을 것이다. 물론 고종수의 프리킥도
마찬가지
다. 회전 극대화하는 공의 최적 지점카를로스의 프리킥에서 공의 회전수가 초당 10회라는 것은 엄청난 양이다. 이 정도의 회전을 줄 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998년 일본 야마가타대의 아사히 ... ...
상부상조하는 지혜의 동물 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네발로 걸으며, 몸은 짧은 털로 덮혀있는 모습을 쉽게 그릴 수 있다. 다른 포유동물과
마찬가지
로 모유로 망아지를 키우며 초식성이어서 풀을 뜯어먹고 산다. 또 사회성 동물이어서 무리지어 생활하는 것을 좋아한다.토끼 크기였던 말의 선조말의 기원은 6천만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 ...
바닥이 허공에 떠있는 소음차단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전볼록하게 튀어나온 특이한 모양의 구조를 띤다. 철사망 아래로 보이는 진정한 바닥도
마찬가지
다. 이 특이한 모양의 벽이 소음을 흡수하고 내부로 반사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의 소음이 차단되기 위해 두꺼운 이중상자 구조로 지어졌다.뿐만 아니라 외부의 진동으로 인해 내부에 소음이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우롱차는 찻잎을 홍차보다 덜 시들게 한 후 더 이상 산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녹차와
마찬가지
로 볶거나 덖는다. 우롱차는 홍차의 붉은 갈색에 가깝고 향기는 녹차에 가깝다.녹차의 카페인은 몸에 괜찮을까흡수 속도 더디고 신경 흥분 사라진다카페인은 녹차를 비롯한 차 외에도 커피, 초콜릿, 콜라 ... ...
단어 배우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실험 결과 연구팀은 로봇의 단어학습 효과를 높이려면 어린아이를 가르칠 때와
마찬가지
로 기계적으로 많이 반복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로봇에게 단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대화가 필요하다는 말이다.소니 컴퓨터연구소의 럭 스틸 연구원은“로봇은 단지 인간 두뇌의 일부만을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