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
제 소원이랍니다.Q . 로봇 공학자가 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하나요?A . 로봇을 만들려면
과학
뿐만 아니라 수학 공부가 기본이 돼야 해요. 전문 서적을 보기 위해 영어도 잘 해야 하고요.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세상을 보고 경험하는 거예요. 그래야 창의적인 로봇을 상상할 수 ... ...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기자교육 드디어 밝혀진 섭섭박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
편집장님이신 고선아 편집장님! 고 편집장님은 직접 기자교육 현장으로 오셔서 기자들이 하는 일과 편집장의 역할에 대해서도 설명해 주셨지.이번에는 특별히 섭섭박사님이 친구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는 시간도 마련됐어. 고민을 익명으로 써서 풍선에 넣으면 섭섭박사님이 만든 ... ...
[수학뉴스] 슈퍼컴으로 지구의 속살을 보다
수학동아
l
201506
지진이라 사람들이 입은 피해도 매우 컸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 프린스턴대 지구
과학
및 응용컴퓨터수학과 제로엔 트롬프 교수팀은 지진파를 이용해 지구의 속살을 관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지금까지 전 세계 지진관측소에서 기록한 진도 5.0 이상인 지진 3000건을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06
하얀 스케치북에 집을 그려 보자. 집이라고 하면 아파트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한옥을 그려 넣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우리에게 한옥은 집보다 전통 문화재에 가깝다. 그런데 최근 한옥이 도시 속 아파트와 다세대주택 틈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미래에는 고층 한옥이나 한옥 도시가 생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06
나오고 있다. 스웨덴 카롤린 스카 연구소의 로렉스 버긴항 박사팀이 2014년 미국 국립
과학
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우 리가 가상현실을 통해 몸을 벗어났을 때 기억상실증 이 생길 수 있다. 박사팀은 독특한 실험을 설계했다. HMD를 쓴 사람 앞에 연구자 한 명이 앉아 이야기를 들려준다.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06
당시 해안에는 높이가 최고 10m인 강력한 쓰나미가 덮쳤다.일본 도호쿠대 재해
과학
국제연구소 연구팀은 당 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주민들의 휴대전화 GPS 정보와 일본 기상청이 제공한 쓰나미 정보를 통 합 분석했다. 이러면 주민들이 어떻게 대피했는지를 시간대별로 알아볼 수 있다. 분석 ... ...
초정밀 GPS로 드론 상용화 길 텄다
과학동아
l
201506
드론 상용화의 최대 걸림돌인 정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사이언스데일리는 미국 텍사스오스틴대 토드 햄프리 교수팀이 정밀도를 기존의 100배로 높인 새로운 인공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그리드(GRID)’를 개발했다고 5월 5일 보도했다.기존에 드론이나 휴대전화에 적용되는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커튼’처럼 물질 뿜는다
과학동아
l
201506
엔셀라두스는 토성의 남극에서 일종의 ‘온천’을 뿜어내는 위성으로 잘 알려졌다. 최근 국제 공동연구진이 엔셀라두스의 정확한 분출 과정을 시간대별로 밝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팀은 카시니 우주 탐사선이 보내온 엔셀라두스의 사진 자료를 이용 ... ...
우주는 평평한 2차원이다?
과학동아
l
201506
우리가 3차원으로 느끼는 우주의 모든 정보가 홀로그램 원리처럼 2차원의 우주에 모두 담길 수 있다는 가설이 수학으로 증명됐다. 오스트리아 빈 공대 다니엘 그루밀러 박사팀은 “2차원 우주에서 ‘얽힘 엔트로피(entanglement entropy)’를 산출한 결과와 3차원 우주에서 얽힘 엔트로피를 산출한 결과가 ... ...
[
과학
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
과학동아
l
201506
최신 스마트폰보다 최대 7배 뛰어난 신개념 디스플레이가 개발됐다. 현택환 기초
과학
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 팀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양자점 LED 기술을 이용해 이같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양자점 LED는 지름이 10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수준인 작은 반도체 결정을 이용해 빛을 내는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