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뉴스
"
컴퓨터
"(으)로 총 4,442건 검색되었습니다.
손짓으로 기계 조종할 수 있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2
3㎛(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 두께의 자기장 센서는 자기장 변화를 감지해
컴퓨터
로 신호를 보내 전구 밝기를 조절한다. 자기장 변화를 미세하게 감지할 수 있어 전구를 켜고 끌 수 있는 것은 물론 밝기도 조절할 수 있다. - 데니스 마카로프 제공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자석 주변에는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도킹할 수 있는 짧은 DNA 가닥을 배치하면 로봇팔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컴퓨터
에 원하는 동작을 입력하면 로봇팔은 천 분의 1초 내에 작동한다. 과학자들은 이런 DNA 로봇팔을 하나 또는 여러 개 이어 붙이면 나노물질을 집어 올려 원하는 곳으로 옮기는 일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 ...
[배터리 이야기①] 리튬이 만든 세상을 보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1.18
용량부족 만큼은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했다. 니켈계열 배터리를 장착한 초기 노트북
컴퓨터
는 이동 중 사용시간이 1시간 정도였다. 리튬은 일찍부터 고효율 배터리 소재로 꼽혔다. 그러나 리튬의 안정성이 매우 낮은 것이 문제였다. 물과 닿으면 불이 붙거나 폭발하기도 한다. 그러니 리튬 계열 ... ...
[SW기업탐방]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
수학동아
l
2018.01.18
이런 약속을 했다. “너는 기타를 계속 쳐서 음악가가 돼. 나는 프로그래머가 돼서
컴퓨터
음악을 만들게.” 더뮤지션은 이 약속의 결실이다. 임 대표는 대기업 프로그래머와 PDA★ 개발자를 거쳐 마침내 음악으로 돌아왔다. 2014년 선보인 리듬 게임 ‘행복한 피아니스트’에서 음악에 대한 애정을 ... ...
풀HD를 울트라HD로…실시간으로 영상화질 4배 높여 주는 인공지능 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1.17
변환 기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기기에는 사람의 학습 방식을
컴퓨터
에 모사한 인공지능 딥러닝(심층 기계학습) 기술이 적용됐다. 김 교수는 “UHD TV가 출시된 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방송 콘텐츠는 FHD 화질의 영상이 대부분”이라며 “UHD TV에 셋톱박스 ... ...
인공지능, 사람 못 넘는다
수학동아
l
2018.01.15
수는 없어요. 수학동아 1월호 제공
컴퓨터
프로그램은 복잡한 문자와 규칙을 가진
컴퓨터
언어로 ‘코딩’해서 만듭니다. 마찬가지로 인공지능이 사람처럼 생각하려면 우선 사람이 생각하는 것들을 형식과 규칙을 가진 언어로 바꿔서 입력해줘야 하죠. 만약 이 언어가 완벽하지 않다면 인공지능도 ... ...
강아지는 주인을 닮는다? 강아지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들
2018.01.15
영향을 미치는 옥시토신은 사랑 호르몬이라고도 불립니다. 연구진은 43마리의 개에게
컴퓨터
화면을 통해 사람의 웃는 얼굴과 화난 얼굴을 보여줬습니다. 안구 추적 장치로 강아지의 시선을 추적했으며, 인간과 원숭이에게만 사용했던 동공 크기 측정을 통해 개의 감정을 평가했습니다. 강아지의 ... ...
“인체 냉동보존 기술, 장기 이식에서부터 활용 가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1.15
일론 머스크의 계획처럼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이용해 사람의 자아(기억)를
컴퓨터
로 옮기는 일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김시윤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연구교수(38)는 12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전망했다. 김 교수는 최근 러시아의 인체 냉동보존 서비스 기업인 ... ...
사람이 본 장면, 인공지능이 그려준다…원리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제1저자인 선궈화 ATR 신경정보학과 연구원은 “데이터베이스(DB)가 있고 그 안에서
컴퓨터
가 비슷한 이미지를 찾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며 “인공지능이 이미지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니 어떤 장면이든 복원이 가능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사람이 어떤 사진을 본 뒤에 시간이 지나 그 ... ...
지구에서 가장 검은 새,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비밀이 최근 풀렸다. 다코타 맥코이 하버드대 생물학과 연구원팀은 전자현미경과 나노
컴퓨터
단층촬영(CT) 기술을 이용해 최고극락조와 풍조 등 검은 새 5종의 깃털 나노구조를 세밀하게 밝히고, 이들의 빛 흡수율을 측정해 그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에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