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체험학습 비법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기록으로 남겨서 학교 생활과 진로 상담에 쓰일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이야.아직 초등
학생
을 위한 내용은 결정되지 않았지만, 중학교 언니와 오빠들을 위한 내용을 보면, ❶왜 했는지(동기) ❷무엇을 했는지(활동 내용) ❸무엇을 느꼈는지(소감)를 자기 스스로 쓰도록 되어 있지.이번 방학의 ... ...
제9회 전국
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사랑하는 전국 초·중·고등
학생
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전국
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가 지난 3월 열렸어요. 1만 7000명의 친구들이 ‘생물다양성의 해’, ‘과학기술발달의 명암’을 주제로 멋진 글솜씨를 뽐냈답니다. 이 중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참가하는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무엇인가 요코즈 Vs 맥그래스 Vs 월터 ▶ 요코즈 교수는 “과거를 쳐다볼 수 있도록
학생
들을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대사회가 인문학의 위기를 비롯해 과거를 돌아보는 데 소홀해진 것은 결국 교육시스템의 문제라는 것이다. 그는 “인문학의 위기와 기초과학의 위기는 과거와 ... ...
산업에서 의료까지 레이저가 다듬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정 교수가 그랬던 것처럼 레이저가공 연구실의 문은 레이저를 학부에서 전공하지 않은
학생
에게도 열려 있다. 정 교수는 “각자의 전공을 바탕으로 레이저가공을 연구하기를 원한다”며 “여기에 성실함과 창의성 그리고 자기 연구 분야에 프로의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더욱 환영한다”고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좋아하는 일을 파고드는 열정을 나타내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보람이 있다. 문제는 L
학생
의 내신 성적이다. 특목고에 다니다 보니까 내신 성적을 잘 받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3~4등급 정도는 유지해야 원하는 대학에 지원할 수 있는 현실이다. “과학은 웬만큼 성적이 유지되는데, 수학 성적이 너무 안 ... ...
마법의 빛이 이끈 새로운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연구실의 장점은 자유로운 토론 분위기와 자율권이 보장되는 연구활동이었다. 교수와
학생
,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연구원들이 경계를 허물고 모두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고 아이디어를 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분위기는 학문을 하는 진정한 즐거움을 우리 모두에게선사했다.우리 연구실만의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거동은 전적으로 전자기학 이론을 따르기 때문에 수식의 전개와 해석에 능숙한
학생
이 유리하다.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은 많은 분야에 쓰이므로 다양한 사람과 접촉하고 팀을 이뤄 연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협동할 수 있는 성격이어야 한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과학이라는 학문에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학생
들의 학문 정진과 면학 분위기 조성을 위해 스스로 호랑이 교수님을 자청했다. 또 많은 여성과학자들이 능력보다는 성별에 의해 남성중심 과학연구 현장에서 차별받는 상황을 안타까워했다. 과학의 꿈을 키우는 ... ...
Photos as Memories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고는 타임-워너사의 기사들을 기초로 하여, 한국
학생
들의 영어교육을 위해 문장과 내용을 새롭게 수정 및 편집한 글입니다 ... ...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준다.8시 30분. 1교시 수업 시간이다. 교실에 들어가 태블릿 컴퓨터를 교탁에 올렸다.
학생
들의 컴퓨터와 연결돼 시험문제를 자동으로 전송했다. 수업 때 아이들의 사진과 얼굴을 비교해 이름을 알려 주고 ‘상대성 이론을 만든 사람은?’ 같은 간단한 질문에는 스스로 답변도 한다. 수업 중에 교사를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