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땅바닥에 주저앉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일단 자세를
최대
한 낮춰서 무게중심을 낮게 잡고 눈 위에 앉듯이 부드럽게 넘어진다.앞발은 액셀러레이터 뒷발은 브레이크 겨우 넘어지기 요령을 배운 과동이는 다시 한번 용기를 내 보드를 신고 눈 위에서 첫걸음 떼기에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100% 부품을 국산화한 과학관측 로켓이다. 로켓엔진에서 만드는 힘은
최대
13t이며, 로켓의
최대
지름은 1m, 전체길이는 13m, 무게는 5.5t이고 아래에 4개의 날개가 있다.우리나라는 KSR-III의 독자적인 개발에서 쌓은 설계와 제작, 시험 기술을 이용해 독자적으로 우주발사체를 개발할 예정이다. 우주발사체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단계에서는 금속의 이용을 표현한다. 소포 꾸러미에서 발견한 스케이트 날은 척에게
최대
의 축복이었으므로.집을 짓자목책으로 담장을 두른 요새 vs. 동굴을 이용두 영화의 차이점이 극명히 드러나는 부분이다. 로빈슨 크루소의 섬은 그만의 낙원이었기에 그것을 지키기 위한 요새가 필요했다.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영역도 작아지기 때문에 공의 회전과 속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전수가
최대
가 되기 위해서는 발로 공을 찰 때 최적의 위치가 있다는 것이다. 즉 공의 무게중심에서 너무 가깝거나 너무 먼 위치를 차면 많은 회전을 얻을 수 없다는 말이다.이제 카를로스나 고종수처럼 그림 같은 ... ...
1백년만에 대규모 별똥별 퍼붓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유성우에는 못미치지만,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었던 유성우로는 최근 1백년 이래
최대
였다. 또 앞으로도 이번과 같은 유성 폭풍은 우리나라에서 향후 1백년 이내에는 나타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된다. 왜 우리나라에 대규모 별똥별이 떨어졌나사자자리 유성우는 매년 11월 중순에 별똥별을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등을 제어해야 한다. 특히 플라스마 전류 밀도를 제어하는 일이 중요하다. 전류 밀도가
최대
인 지점이 도넛 단면 중심에서 벗어난 지역에 위치하는 역전 쉬어 모드는 높은 플라스마 압력으로 불안정을 해소한다. 이렇게 얻어진 플라스마의 구속 시간은 상당히 길어 점화 조건을 달성하기에 유리하나 ... ...
겨울철에 달리면 살빼는 효과 배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다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어느 스포츠나 마찬가지지만 마라토너들에겐 부상은 ‘
최대
의 적’이다. 만일 부상당하면 우선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 그래도 완화되지 않는다면 빨리 전문의에게 상담을 구하는 것이 더 큰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겨울철에는 눈이 오거나 바람이 심하게 ...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소행성 베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주목을 받는다. 그 이유는 다른 소행성보다 더 밝아 관측하기 좋기 때문이다. 베스타는
최대
로 밝을 때 맨눈으로 볼 수 있는 6등급대까지 밝아진다. 세레스보다 거의 1등급, 팔라스보다 2등급이나 더 밝은 것이다. 베스타가 이처럼 밝은 이유는 무엇일까. 다른 소행성에 비해 태양과의 거리가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핵융합 실험 분야에서도 적용되는 것이다. K스타에서는 플라스마에서 핵융합 반응이
최대
로 일어나도록 어떤 상황에서도 플라스마의 온도, 밀도,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면서 목표를 향해 나아간다.K스타에서는 한걸음 더 나아가 세계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핵융합 ... ...
폭넓은 공부와 꼼꼼한 준비 부탁한 출제의도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평소에 꼼꼼히 봐둔 수험생이었다면 아마 쉬운 문제였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최대
허용 전력량을 묻는 26번 문제에 대해서도 “물론 질문의 핵심은 보기 (ㄹ)만 알면 된다. 하지만 정답인 ⑤번의 보기가 세개인 이유는 (ㄹ)을 알기 위해 (ㄴ)과 (ㄷ)도 순차적으로 알고 있느냐는 점을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