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의 경차-작다고 깔보지 마라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판매될 수 있다. 경차도 에외가 아니다. 따라서 경차의 안전도는 소형차에 비해 크게 떨어
지지
않는다. 실제로 독일 최대의 자동차 관련 기구인 전독일 자동차클럽이 유명 경차들을 대상으로 충돌시험을 한 결과 모두 평균 이상의 성적이 나왔다 ... ...
세기말 바람타고 날아온 바이블 코드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만난 적은 있지만 드로스닌의 바이블 코드에 관한 연구와 그가 내린 결론, 추론 모두를
지지
하지 않으며, 모세5경의 메시지로부터 특정한 예언을 끄집어내는 것은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일”이라고 불편한 심기를 밝혔다.얼핏 신의 존재를 ‘과학적으로’ 증명한 것처럼 보이는 이 책이 성서 ... ...
장애아들을 위한 과학놀이 한마당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알게됐다. 학교 특활반에서 친구들과 함께 시행착오를 거치며 실험한 내용은 결코 잊혀
지지
않을 것이다. 특히 오늘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하니 더 재미있다."과학의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개념을 이해하고, 친구들과 의사소통하는 이런활동들이 과학교육이 지항해야 할 바이다. 단지 한가지 아쉬운 ... ...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커지면서 우주기지들은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놀라운 것은 그동안 알려
지지
않았던 수많은 로켓 발사 사례들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대부분은 첩보위성과 군사용 로켓이었다. 베일에 가렸던 세계 우주기지들을 함께 조망해보자.미국■NASA본부(HQ)워싱턴 DC.11개 산하조직에 대한 ... ...
딸자랑에 교만했던 카시오페이아 왕비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뒤에 다시찾은 ‘티코의 별'카시오페이아자리는 일주운동을 하더라도 지평선아래로
지지
않는 주극성 별자리다. 북극성을 중심으로 북두칠성과 마주보고 있어서 찾기가 쉽다.M자 모양의 가장 높은 꼭지점에 아랍어로 가슴을 뜻하는 알파(α)별 쉐다르가 있다. 쉐다르는 1백20 광년 떨어진 오렌지색 ... ...
거대석상 모아이의 수수께기 - 이스터섬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모아이 때문이다. 누가, 언제, 어떤 목적으로 거대한 모아이를 만들었는지 아직까지 밝혀
지지
않고 있다.이스터섬 남쪽에 있는 오롱고 언덕에 오르면 옛날 원시부족들이 돌을 촘촘히 쌓아 만든 움막집이 있다. 그 쌓아놓은 모습은 무척 정교하다. 오롱고에서 멀지않은 비나푸에는 아후(돌로 쌓아 ... ...
Ⅰ. 대피라미드와 돌항아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수준의 고도 산업사회 붕괴 후에 다시 시작한 문명이었음이 명백하다.이런 설명을
지지
해주는 또다른 증거가 있다. 대피라미드 건설 수준에 어울리는 정밀가공 기술이 그것이다. 정밀가공 기술의 진수를 보여주는 증거물은 기원전 4천년 경 선왕조 시대에 발견되는 돌항아리다.주류 고고학자들은 ... ...
2. 잠재의식을 키우는 창의성 교육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동작에 의해 부상(浮上)된다. 그런데 바늘과 같이 가는 것으로 저으면 액체가 잘 저어
지지
않는다. 이와 반면 빝이 넓적한 수저로 저으면 훨씬 젓는 효율이 높아져 빠른 시간안에 알갱이들이 윗쪽에 뜬다. 이것은 적절한 창의적인 방법론을 활용해야 아이디어의 발상이 용이해진다는 것을 뜻한다. ... ...
다시 뜨는 달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보다는 충돌한 가능성이 더 많아 약점이 있다. 충돌설은 70년대 중반부터 꾸준히
지지
자를 늘려가고 있다. 지금까지 충돌설에서는 충돌천체의 질량이 화성 정도 될 것으로 생각됐다.③월면지도 ④9월17일 새벽2시 쟁반같이 둥근달 꼭꼭 숨는다올 추석에는 여느 추석과 다른 또 하나의 기쁨이 있다. ... ...
남과는 다른 개성 창의성을 키워라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창조적인 결과가 나온다. 그러므로 신병훈련소와 같은 교육 풍토에선 창의성은 길러
지지
않는다. 귀걸이 단 남자도 OK. 교과서는 필요없다. 진리는 반증을 통해 뒤집힌다. 영재교육의 산실인 KAIST에서 미래 한국의 사활을 걸고 실시하는 창의성 교육이 무엇인지 함께 알아본다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