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좋은사람들"(으)로 총 3,1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변기기 선택요령① 프린터의 구입과 활용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컴퓨터를 구입했다 하더라도 그 자체를 원활하게 돌아가주는 것이 아니다. 컴퓨터메이커에서 판매하는 것은 대부분 본체와 키보드 모니터 등이 고작이고 프린터 보조기억장치 등 주변기기는 추가로 돈을 더주어야 하거나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 활용분야가 점차 다양해지는 PC의 기능을 극대화시 ... ...
- 비파괴검사 속을 꿰뚫어 본다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수박을 손으로 두드려 잘 익었는지를 알아보는 일에서 출발한 비파괴검사는 초음파현미경 컴퓨터 단층촬영등 첨단공학의 필수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기차가 역에 도착하면 작은 망치를 든 역원이 기차 바퀴부분을 두드리고 다니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병원에서는 의사가 청진기로 환자의 몸속에 ...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인기학과에 들어가 치열한 경쟁의 틈바구니 속에서 지치고 시달리는 것보다는 훨씬 행복할 수 있습니다. 어느 학문이나 다 인간생활에 필요한 것 아니예요?●- 주로 선배에게 조언을 받는다김용-수험생의 미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대학입시가 머지 않았습니다. 대다수의 학생은 어떤 대학 어떤 ... ...
- 동화 속의 투시경을 찾아과학동아 l1989년 11호
- 군사지역이나 입산금지구역에 잘 못 들어가 혼나기도 하지만, 삼엽충의 다리화석 하나라도 발견하면 깊은 희열을 느낀다."전공이 무엇입니까?" "예, 지질학이요" "뭐라구요? 지질~학이요?"대학 졸업반인 지금 생각해 보면 그 동안 이런 질문과 대답을 너무나 많이 반복해 왔다. 그만큼 지질학이란 학 ... ...
- 왜 어지러운가?과학동아 l1989년 10호
- 우리 몸은 3기관의 도움을 받아 똑바로 선다. 그렇다면 무엇이 그 팽팽한 균형을 깨뜨리는가? 현기증은 병명이 아니다. 어떤 질환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하나의 증상인 것이다. 따라서 그 원인이 매우 다양하다. 또 가벼운 증상부터 몸을 움직일 수 없을 정도까지 증상의 범위가 넓다.일반적으로 ... ...
- PART2 탈선의 심리학과학동아 l1989년 10호
- "성적인 욕구는 솔직하게 표현되어야 한다"는 말에 속아서도 안되고, 자신을 합리화시켜서도 안된다.성(性)이란 무엇일까? 왜 청소년들이 성적 유혹에 쉽게 빠져 들어가는가? '이유없는 반항'의 시기를 현명하게 넘기는 길은 없을까?성이란 그 자체만을 생각하기보다는 인격발달의 일부로서 성적(性 ... ...
- 한글문화에 알맞는 컴퓨터를 개발하자과학동아 l1989년 10호
- 영어권 일어권에서 개발된 컴퓨터를 우리 문화에 짜맞추려고 한글을 뜯어 고친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이제는 우리 문화에 맞고 우리가 쉽게 쓸 수 있는 컴퓨터를…우리가 컴퓨터를 도입하여 사용한지 20년, 비록 개인용이지만 국내에서 컴퓨터 생산을 시작한지도 10년이 되었건만 컴퓨터사에서 한 ... ...
- 실제로는 정부지원 얻어내자는 속셈인듯과학동아 l1989년 09호
- 지난 1939년 마르크스주의 과학자인 영국인 'J.D.버널'은 '과학의 사회적 기능'이란 책을 써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버널'은 이책에서 대학과 연구소에서 제각기 연구하고 연구결과를 기업에서 멋대로 응용하는 서방사회의 관습은 사회복지에 도움이 안된다고 지적, 최고 과학기술 행정기구를 설립해 ... ...
- 50만년전의 숨결 북경원인의 고향, 주구점을 보고과학동아 l1989년 09호
- 석회암 퇴적층에 50만년간 꼭꼭 숨어 있다가 불과 60년전에 빛을 본 북경원인. 그들의 모습과 삶이 남겨진 유적들에 의해 하나씩 벗겨지고 있다.금년 봄 학회참석차 중국을 방문했던 필자는 평생 잊지 못할 학문적 기쁨을 누릴 수 있었다. 이제까지 교과서에서나 보아 왔던 인류의 한 조상, 즉 50만년 ... ...
- PARTⅠ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과학동아 l1989년 09호
- 태양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11년 주기보다 2년이나 빨리 흑점과 플레어가 활동하기 시작한 것.지난 3월 초 1천문단위 떨어진 태양에서는 엄청난 규모의 흑점이 출현, 천문학계에 큰 화제를 뿌렸다. 흑점의 크기는 지구를 무려 70개나 삼켜버릴 정도였으며, 태양이 얇은 구름에 가려질 때에는 맨 눈 ... ...
이전2842852862872882892902912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