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뇌와 신경에 전극을 심어 상어의 다양한 능력과 기능을 발동시키는 조건을 탐색했다.
연구소
는 상어를 조종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곤충을 조종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그러나 훗날 상어 조종에 성공한다면 해저탐지선에 비해 월등한 효율을 낼 것이다. 상어는 조용하게 ... ...
태양전지 옷 갈아 입혀 파워 업!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인공위성에 사용하는 태양전지와 우리가 지상에서 사용하는 태양전지는 같은 태양전지일까. 인공위성에 달린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는 2세대 태양전지다. ... 에어컨을 작동하고, 가방에 달린 유기물 태양전지로 언제든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미래를 솔라에너지
연구소
가 앞당기고 있다 ... ...
특명! 우리나라 인어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많지 않답니다. 죽지 않은 상괭이를 발견해 치료한 일도 이번이 처음이었어요. 고래
연구소
에서는 앞으로 누리와 마루가 자라는 과정을 관찰하면서 상괭이의 생리 생태를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지금까지 고래를 좋아하면서도 우리나라 돌고래 상괭이를 모르고 지냈다니 부끄러운 걸?게다가 ... ...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푸앵카레 추측이 풀렸다고 선언했지요. 이 공로로 2006년 필즈상과 미국 클레이수학
연구소
에서 제시한 100만 달러의 상금을 받게 됐지만 거절했어요. 돈에는 관심없거든요. 그래도 제 덕분에 우주가 3차원 구면과 같은 공간인지 검사할 수 있게 돼 기쁘네요.창과방패상 역설을 통해 수학을 발전시킨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감마선을 측정하면 뇌의 어느 부분이 활동하는지를 그려낼 수 있다.1990년 미국 AT&T 벨
연구소
의 세이지 오가와 박사팀은 MRI(자기공명영상)를 이용하면 더욱 정밀하게 뇌 활동을 관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뇌가 활동할 때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는데 이 때 MRI에 미세한 변화가 발생하는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열대우림, 보라색 대나무 숲 등, 식물의 색 자체가 달라져 있다. 낸시 키앵 NASA 고다드우주
연구소
연구원이 2007년 ‘우주생물학’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지구에 도달할 때 태양빛에는 파장이 560~590nm인 노란 광자가 가장 많다. 하지만 오존과 수증기 등이 일부 파장을 흡수해 실제로 지상에서는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하틀리2를 근접촬영하는 장면을 사실에 가깝게 그린 상상도. 2011년에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과학자들이 하틀리2에 지구와 성분이 같은 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바닷물의 혜성기원설을 주장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리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제대로 알지 못한다.위에서 말한 1930년대 관측이란 우주전파를 말한다. 당시 미국 벨전화
연구소
는 전화 통화를 간섭하는 소음(전파)의 실체를 밝히는 연구를 신입사원인 칼 잰스키에게 맡겼다. 1932년 그는 전파안테나를 만들어 그 잡음이 주로 우리은하의 중심에서 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우주에서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부른다. 최근 ‘ICBM, 그리고 한반도’를 펴낸 정규수 전 국방과학
연구소
(ADD) 연구원은 “속도를 극한까지 끌어올린 고성능 탄도탄을 개발하고, 탄두 부분에 폭약이 아니라 열에 강한 텅스텐 종류의 합금덩어리 하나만 넣어도 굉장한 무기가 된다”며 “운석이 지구 표면에 떨어지는 상황을 ... ...
바둑도 수학규칙 따른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프랑스 뚤루즈대학교에 있는 이론물리학
연구소
와 파리남대학의 이론물리학및통계모델
연구소
의 연구팀은 ‘네트워크 이론’을 활용해 바둑의 원리를 분석했다.연구팀은 먼저 1941년부터 최근까지 일본에서 벌어진 약 5000여 건의 실제 경기 자료를 모았다. 그런 다음, 바둑판 모서리의 아홉 칸에서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