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1. 당신의 정보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역추적 결과 KAIST에서 들어온 것은 밝혀졌지만 해킹의 주인공은 결국 지금까지 의문으로
남아
있다. 마약 위해 해킹한 '뻐꾸기 알'해커들이라고 모두 컴퓨터 천재는 아니다. 몇몇 대가들이 다양한 해킹수법을 개발하거나 프로그램을 만들면 평범한 해커들은 그 방법을 인터넷이나 지하BBS(사설게시판 ... ...
2. 반입자와 반물질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그래서 반물질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앞으로 해결돼야 할 하나의 성배(Holy Grail)로
남아
있다. 서울대와 하버드대 공동 연구입자(물질)와 반입자(반물질)에 관한 성질은 반양성자가 발견되 이듬해인 1957년 뤼더스박사가 처음으로 발표한 'CPT 불변성'이라는 대칭성에 함축돼 있다. CPT ... ...
1. 인간은 왜 입체감을 느끼나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그러나 홀로그래피 방식이 실용화되기까지는 기술적으로 해결해야할 많은 문제들이
남아
있다.(표1) 특수안경 사용 방식색필터와 편광을 이용해사물이 사람과 가까이 있으면 양쪽눈의 시차가 커지고, 멀리 있으면 양쪽눈의 시차가 작아진다는 양안 시차의 원리를 이용하면 2차원 화면에서 3차원의 ... ...
1. 톱쿼크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아직 통계적으로 결정적인 것이 아니며, 현재의 이론치가 정확한지에 대한 의문도
남아
있다.어찌 됐거나 쿼크모델을 완성한 물리학자들은 더 작은 미지의 세계를 향해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항해를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사실 새로운 시도는 아니다. 왜냐하면 인류는 자신의 존재에 대해 생각할 줄 ... ...
1. 큰돈을 작은돈으로 바꾼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공기를 다 내보내려고 한다 해도 그렇게 할 수 없다. 보통 약 1.5L 정도가 항상 폐 속에
남아
있다. 이것을 잔류공기라고 한다. 이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 속에는 호흡운동을 조절하는데 필수적인 이산화탄소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동생이 숨을 참으려고 아무리 노력해도 혈액 ... ...
대책없는 광우병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전염력이 현저히 감소하긴 하지만, 심지어 3백 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해도 전염력이
남아
있기도 하다.헌재 원인 물질로 가장 유력한 후보는 프라이온(prion)이다. 프라이온은 핵산을 포함하지 않는 단백질로 정상적인 동물이나 사람의 뇌에 존재하는데 PrP라한다. 스크레피에 걸린 양, 광우병에 ... ...
1. 물질세계의 터널 공사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편리함과 함께 자동차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물질은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얼마전 현대의 엘란트라 승용차(DOHC)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오염물질로 인하여 리콜제도의 적용을 받은적이 있다.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이외에 환경에 유해한 ... ...
건전지 손목시계부터 우주왕복선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색깔은 변화된다. 듀라셀의 제품은 온도계처럼 생겼고 에버레디의 것은 25%이상 용량이
남아
있으면 'Good'd이라는 글자가 나타난다. 가격은 종전의 것과 같다.재충전 가능한 슈퍼에너지초경량·초소량이 목표 전지기술은 획기적인 성능향상이 어렵기로 유명하다. 소재산업이니만큼 기존의 공정에 ... ...
우리집 홈페이지 만들기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일들자,이것으로 모든 작업은 끝났다.그러나 홈페이지 제작만큼이나 중요한 일이 아직도
남아
있다. 새로운 소식을 올리고 잘못된 것을 고치는 유지보수가 바로 그것이다.대부분의 홈페이지 에서는 마지막으로 수정한 날짜를 입력함으로써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 ...
지구 근접한 미확인 천체, 케이론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이르는 30여개의 천체들을 발견했다. 그러나 쿠이퍼대는 아직 많은 부분이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케이론은 2047년 다시 근일점에 돌아와야 하지만 휘발성이 큰 물질로 이뤄진 까닭에 다시 볼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다. 과학자들이 앞으로 2년을 '케이론 캠페인 기간'으로 삼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