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새와 공룡 너무
나
닮은 우리 사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돌보는 행동도 닮았습니다. 새에게 알을 낳는 지역이 따로 정해져 있듯 공룡도 아무데서
나
알을 낳지 않습니다. 알을 품는 것도 공룡과 새의 공통점입니다. 몽골에서 발견된 오비랍토르는 알을 품은 채로 죽어 화석이 됐습니다. 처음에는 남의 알을 훔치다 죽은 줄 알았지만 알을 품은 자세와 부화가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
나
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독도에 사는 생물들을 비롯한 다양한 바다 생물까지 직접 볼 수 있었어요. 또 한눈에 우리
나
라의 대표 수산물을 파악할 수 있는 수산물 지도도 전시돼 있었지요. 생생한 바다생물을 통해 바다를 깊이 알고 싶은 친구들은 수산과학관으로 놀러 오세요~ ... ...
[1학급 1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가 30개 교실에 과학동아를 선물합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바로 1학급 1과학동아 캠페인에 신청하시길!대상: 교실에 과학동아를 선물 받고 싶은 누구
나
참여 가능기간: 3월 15일까지방법: 홈페이지 신청 event.dongascience.com/campaign문의: (02) 6749-200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매우 흥미로운 이벤트!(Very Interesting Event!)”.2015년 9월 14일 저녁. 필자는 e메일 한 통을 확인했다. 라이고-버고 연구단의 분석팀원인 마르코 드라고(Marco Drago)에게서 ...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
나
Part 3. 55년의 도전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그의 주저 ‘자연 선택의 유전학적 이론’에서 한 장(章)을 할애해 설명했다. 그러
나
이들은 이타성의 진화를 정교한 수식모델로써 본격적으로 탐구하지는 않았다. 혁명은 케임브리지대 도서관에서 혼자 피셔의 책을 붙잡고 씨름하던 학부생 해밀턴의 몫이었다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즉 뤼카-레머 판정법을 통해 메르센 소수를 찾았더라도, 그 수의 앞뒤로 2만큼 차이가
나
는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이야기다.뤼카-레머 판정법을 이용해 컴퓨터로 메르센 소수를 찾는 데 처음으로 성공한 사람은 미국의 수학자 라파엘 로빈슨이다. 그는 1950년에 미국 ... ...
[지식] #數수스타그램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이렇게 수학을 알면 온라인 속 멋진 사진의 비밀을 알 수 있어요. 사진을 예쁘게 보정하거
나
부자연스럽게 합성된 사진을 찾아내는 원리가 무엇인지 알겠지요? SNS를 시작하고 싶은 친구들이 있다면, 사진을 보정하는 다른 방법에는 어떠한 수학 원리가 있는지 한번 알아보세요. 끝으로 SNS에 올린 ... ...
[재미] 개는 늑대의 후손?!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주장입니다.과학자들은 지금처럼 개가 품종이 다양해진 건 사람들이 필요로 하거
나
기호에 따라 개량시켰기 때문으로 보고 있어요. 맹인을 안내하는 개, 마약을 찾는 개, 사냥을 돕는 개처럼 특정 역할을 담당하는 품종이 있지요. 또 애완견은 예쁘고 귀여운 외모를 가진 품종이 오래 살아남고 또 ... ...
붉은 원숭이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만
나
고
나
니 원숭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게 됐어!
나
는 다시 천축국을 향해 여행을 떠
나
겠지만, 친구들은 앞으로도 원숭이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어. 붉은 원숭이의 새해 인사를 전하며, 그럼 이만 안녕~! “우~우~우끼! 우! (새해엔 모두 건강하길!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우리는 매일 웃는다. 현실에서 웃을 일이 자꾸 사라져 간다지만, TV와 온라인 공간에서 각종 예능 프로그램과 웃긴 동영상을 탐닉하며 짧게
나
마 웃 ... 웃음을 창조하는 위대한 코미디언”이라고. 현대 사회에서 웃음은, 진화적 기원을 벗어
나
마음껏 그 기량을 펼치는 창조의 공간인 셈이다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