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형 로봇으로 후끈 달아오른 일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풍성했다.한편 올해는 세계 최초의 인간형 로봇인 ‘와봇(WABOT)-1’이 만들어진지
꼭
30년이 되는 해다. 1973년 일본 와세다대 가토 이치로 교수팀이 만든 와봇은 인간처럼 두발로 걷는 최초의 2족 보행 로봇이다. 현재 관점에서는 엉성해 보이지만 와봇의 탄생은 인간 형태로 로봇을 만들려는 도전의 ...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백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완전히 자급자족형의 우주선을 생각했다. 수백년 이상이 소요되는 항성간 여행을 위해
꼭
필요한 이 자급자족형 생태계의 구상은 1991년 9월 미국의 한 민간기업에 의해 ‘바이오스피어(Biosphere)2’ 실험으로 진행됐으나,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이 외에 치올코프스키는 사용 후 우주공간에 버려지는 ... ...
지구에서 자기장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적정한 온도 등이 떠오를 것이다. 물론 지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권도 우리에게는
꼭
필요한 존재가 아닐 수 없다. 영화 ‘아마겟돈’에 나온 커다란 소행성은 아니더라도 하루에 수억t씩 지구로 떨어지는 우주먼지를 태워 버리고, 생명체의 성장과 진화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자외선을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있다. 실험실에서 RNA를 인위적으로 합성할뿐 아니라 표적으로 삼는 특정 분자의 구조에
꼭
들어맞는 최적구조체의 RNA를 설계해 합성한 뒤 선별하는 작업도 이뤄지고 있다. 이같이 만들어진 RNA는 여러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로 응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이런 리보자임을 질병 진단제로 응용한 ... ...
휴대폰으로 TV 보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못한다. 주말에는 약속이 있어서 재방송을 볼 수 없는 K씨는 짜증이 이만저만이 아닌데….
꼭
보고 싶은 TV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방송시간을 맞추지 못해 놓치는 경우가 있다. 재방송이라도 하면 기회는 한번 더 주어지지만 시간을 맞춘다는 일이 번거롭기 마련이다. 인터넷을 통해 지난 방송을 볼 수 ... ...
광고 속 공기청정기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생각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실제로 공기청정기를 통과한 후의 먼지입자들을 조사해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다.먼지 입자의 크기와 제거효율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곡선은 마치 흙을 파낸 구덩이와 비슷한 모양이다(그림 5). 즉 어느 입자 크기를 기준으로 그보다 작거나 클수록 제거효율이 높아진다. ... ...
머리가 편안해야 장수한다 베개의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수 있다. 또 땀을 흘릴 경우를 대비해 쉽게 축축해지지 않도록 흡습성이 우수해야 한다.
꼭
땀이 아니어도 피곤한 상태에서 자면 침이 흘러 베개를 홍건히 적시기 쉽기 때문이다.메밀껍질에서 첨단 신소재까지베개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했을 때 베개에 많이 사용되는 왕겨나 메밀껍질은 무난히 ... ...
패스트푸드점 단골 X 신드롬 주의해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바쁘게 움직여야 하는 현대인이 한끼를 해결하기 위해 간편히 고를 수 있는 메뉴다.
꼭
바쁘지 않더라도 패스트푸드점에서 판매하는 햄버거와 피자, 콜라 등은 맛도 있어 자주 찾게 된다. 그러나 패스트푸드점을 자주 이용하다간 낭패를 볼 수 있다. 조용한 살인자라는 닉네임을 갖고 있는 ‘엑스 ... ...
이공계 위기를 열기로 바꾸는 과학 전도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학생들을 자신의 연구실로 초청해 실험실을 견학시켜주기로 약속까지 했다.울릉도,
꼭
갈겁니다“교수님, 죄송합니다. 이번에도 높은 파고로 배가 뜨지 않는다는군요.”울릉도 강연의 꿈에 또한번 좌절의 아픔(?)을 맛본 장본인은 과학기술 홍보대사로 활동중인 포항공대 전기화학과 박수문 교수.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반면 시시는 호기심이 많고 장난기가 다분하다고 한다. 복제를 한다고 해서 겉모양이
꼭
같은 것은 아닌 셈이다.세계 최초의 장기이식용 복제돼지도 한국 과학자가 참여한 합작품이다. 강원대 수의학과 정희태 교수, 축산기술연구소 임기순 박사, 미주리대 연구원 박광욱 박사 등 한국 과학자 3명과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