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스페셜
"
병원
"(으)로 총 3,182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정신질환 완치의 길 여는 '100번째 뇌'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관리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14건의 뇌자원을 분양했다. 다만 사후 뇌자원은 아직 협력
병원
뇌은행과의 공동연구로만 분양중이다. 한국뇌은행은 2022년까지 사후 시신뇌자원 기증자 200증례, 생전 인체뇌자원 기증자 1800증례를 확보하는 한편 한국인의 생애전주기에 걸친 뇌질환 조기진단과 치료법 ... ...
수의사1人당 실험동물수 선진국 10배…"학대는 한국 연구환경의 예견된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관리할 주체가 없어서다. 그는 “2007년 동물보호법 개정으로 2008년부터 대학과
병원
, 기업 등 동물실험을 하는 기관에는 의무적으로 동물실험윤리위원회가 설치되기 시작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며 “미국 ‘실험동물의 관리와 사용에 관한 지침’에 따르면 동물실험의 하고자 하는 연구자로부터 ... ...
뇌졸중, 심근경색 일으키는 혈전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T세포가 우세하게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T세포 중에서도 염증반응을 일으켜
병원
균을 공격하는 것(CD4+ T세포)이 특히 많았다. 연구팀은 T세포가 과다하게 염증을 일으킨 결과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등 발생시킨다고 분석했다. 연구를 이끈 키아라 지안나렐리 심장학과 교수는 “T세포가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⑥ 진화하는 인공관절 수술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현재 상용화했다. 국내에서는 사랑플러스
병원
과 동작경희
병원
, 부산 센텀
병원
등 17개
병원
에서 로보닥을 사용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현재 2세대 인공관절 수술로봇인 ‘티솔루션원’을 개발했다. 이 로봇은 로보닥보다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뼈를 절삭할 수 있다. 로보닥과 마찬가지로 3차원 ... ...
이병천 서울대 교수 복제견 연구를 둘러싼 미해결 논란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결론 내렸다. 메이가 체중이 감소하고 외관이 수척해지는 등 증상을 보였을 때 동물
병원
을 통해 입원치료하는 등 적극적 치료를 했어야 하나, 실제로는 사료를 교체하고 가끔 체중을 측정하는 등 관리를 소극적으로 했다는 것이다. 또 복제견 관리를 사육관리사의 보고에만 의존했을 뿐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⑤ 게임 통해 기억력 높이는 로봇 보미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효과가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원‘에 발표했다. 이대목동
병원
에서 안내를 하고 있는 로봇인 이로미에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장착해 실험한 결과다. 이로미는 보미와 달리 사람처럼 생겼고 두 팔을 가졌으며 바퀴가 달려 있어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다. 실험에 참가한 ... ...
생존률 1% 환자 생명 구한 '바이러스 칵테일'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영국 그레이트오몬드스트리트
병원
의료진이 이자벨을 치료하는 데 실제 정맥주사한 파지 3개 종류. 네이처 메디신 제공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④ 암세포 정확히 찾아 찌르는 의료로봇계 로빈후드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현대중공업 등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로빈(왼쪽)과 로빈S(오른쪽). 서울아산
병원
제공 로빈은 환자 영상을 찍고 나서 로봇에 입력하면, 정합이라는 과정을 거쳐 환자의 몸속 영상을 지도로 만든다. 의료진이 계획한 시술 계획을 입력하면 로봇의 소프트웨어가 바늘이 어떻게 들어가야 하는지 ... ...
어린시절 무심코 먹은 항생제가 거식증·폭식증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연구를 이끈 로렌 브라이토프 조지메이슨대 심리학과 박사후연구원은 "항생제가
병원
균뿐 아니라 유익한 균까지 죽이면서 장내미생물 생태계를 뒤엎은 결과로 추측된다"며 "뇌와 소화기관 사이의 신경계에 영향을 줘 결국 식욕이나 식이행위를 조절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 ...
발달장애인과의 상생, 기업들도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5
지속돼 당사자는 물론 가족의 고통이 심하다. 발달장애 전문가인 유희정 분당서울대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발달장애인의 수명이 다른 사람보다 짧다는 의학적 증거는 없다”며 “한국인의 평균수명(2014년 기준 82.2세)이 곧 발달장애가 지속되는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성인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