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581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의 뉴스픽] 꿈조차 꾸기 어려운 국감 현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영상을 공개한 적이 있습니다. 태양과 지구 거리의 2배가 넘는 먼 우주에서 벌어진
곳
에서 이 멋진 일이 벌어지기 불과 몇 시간 전 한국에선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대한 국정감사가 열렸습니다. 납세자인 국민이 낸 혈세가 얼마나 잘 쓰이고 있고 국가 우주개발의 방향이 잘 ... ...
[2020 국감]원광연 이사장 “연구원 채용 때 지도교수·추천서 등 포함 바람직”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수가 적음에도 연구비는 10배 이상 많았다”며 “젊은 비전임 연구자들은 갈
곳
이 없고 예산도 적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개인연구 중 기초연구를 전임 연구자만 받게 해 비전임 연구자들의 불만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노정혜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은 “비전임이 받을 연구과제 기회를 ... ...
러, 코로나19 백신 한국서 생산한다는데…안전성 논란 속 임상 자료 내달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제약사 중 어느 업체가 생산을 맡게 될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한국 대형 제약사들 중 한
곳
으로 알려졌다. 이날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주러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러시아 측이 한국 제약사들과 직접 협상을 추진해와 대사관에서 파악한 바는 없다"고 말했다. ... ...
[2020 국감] "우한 바이러스연구센터 설치 맞나"…부산대 "모르는 일"
연합뉴스
l
2020.10.20
판단되면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조 의원은 "전국 의대 중에 수의대가 없는
곳
이 부산대가 유일하다"며 이유를 물었다. 차 총장은 1989년 이후 31년 동안 수의대 증설이 안 되고 있다"며 "수의사업계에서 반대하고 있는데 지역 거점대학으로서 의생명 과학이 발달한 양산캠퍼스에 수의과 ... ...
[코로나19 연구속보] 우리 몸속 고대 바이러스 흔적이 코로나19 퇴치법 알려줄까?
2020.10.20
천만년 전 초기 인류 조상 세포에 유입됐다. 추옹은 “인간 게놈 어느
곳
에서나 전염병의 화석기록처럼 이들 침입 흔적을 찾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침입자 가운데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 ... ...
태양은 외롭게 태어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태양과 태양계의 초기 형성 과정과 주변 환경을 새롭게 밝혔다. 이정은 교수는 “가까운
곳
에 강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무거운 별이 있다는 것은 태양이 외따로 만들어진 게 아니라 성단 안에서 만들어졌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생명 연구에도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유기분자는 ... ...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조작설에 과학계 떠들썩…한국인 연구자 포함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2006년 ‘세포 생리학’지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일부 웨스턴블롯에서 다른
곳
에서 찍은 웨스턴블롯 결과를 칼로 자르듯 잘라 붙인 듯한 흔적이 발견되기도 했다. 의도적으로 웨스턴블롯 결과를 지운 사례도 있다. 2019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중 한 명인 그레그 세먼자. 노벨위원회 2009년 ... ...
日 27일 오염수 방출 결정 앞두고 치밀한 '준비'…IAEA도 이견 없어 사실상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20.10.18
정부는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국제사회 공조를 구한다는 계획이지만 호응하는
곳
이 없어 쉽지 않아 보인다. 일본 일간 마이니치신문과 도쿄신문 등 일본 언론은 일본 정부가 27일 열리는 후쿠시마 제1원전 폐로 및 오염수 대책 관계각료 회의에서 해양 방출을 결정할 방침이라고 이달 1 ... ...
"노벨상 수상자 지형도, 15년 내로 드라마틱한 변화 일어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7
모을 것, 소통하고 네트워크를 갖출 것, 정기적 만남이 아닌 건물 밖이든 카페든 다양한
곳
에서 비정기적 만남을 가질 것, 자유도를 가지면서도 경쟁과 압박이 유지될 것 등을 꼽았다. 린드크비스트 교수는 “야자나무는 무게가 있어야 자란다는 라틴어 속담이 있다”며 “KAIST도 압박을 받으면서도 ... ...
[인간·공감·AI]조난자 소리, 원하는 가수 목소리 콕 찍어 키워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인명구조 AI도 청각 AI에 기반해 이뤄지고 있다. 김 교수팀은 현재 사건 음향이 감지된
곳
을 CCTV가 정밀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했고, 향후 이 기술을 드론에 탑재해 오지나 위험지역의 인명 구조에 응용한다는 계획이다. 동영상 캡쳐 이 기술은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한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