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4,13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미싱 링크 찾는 로봇 고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1.19
홈볼트대와 함부르크미대,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연구진은 생물학과 로봇공학 기술을
결합
한 역공학 방식으로 오로베이츠의 이동 과정을 로봇으로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이번 호에 밝혔다. 역공학은 개발된 장치나 시스템의 구조를 바탕으로 그 속에 담긴 원리를 얻어내는 연구 방식이다. ... ...
빛으로 뇌 유전자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발현을 나타낸 사진. PA-Flp 효소는 비활성시 분리돼 있다가 푸른 LED 빛을 받으면(b) 서로
결합
해 활성화된다(a). 빛을 받은 쥐의 뇌 해마에서는 PA-Flp 단백질이 활성화됐다(c의 붉은색). -사진 제공 IBS 수술 없이 뇌에 빛만 쪼여주는 방법으로 동물의 뇌 유전자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 ...
세계 첫 인공 유성우 2020년께 일본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어두운 별이다. 오카지마 레나 ALE 대표는 “인공 유성우는 천문학과 엔터테인먼트를
결합
한 것"이라며 "발사된 위성도 지구 궤도를 최대 2년간 돌다 별똥별로 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엡실론 4호기가 18일 오전 9시 50분에 발사에 성공했다.-JAXA ... ...
울산과기원, 입자 고르고 균열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
2019.01.17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육방정계 질화붕소(h-BN·질소와 붕소가 육각형 벌집 모양으로
결합
한 물질) 단일층 내부에 그래핀 양자점을 규칙적으로 배열한 2차원 평면 복합체'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그래핀 양자점은 수 ㎚(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크기 반도체 나노입자로, ... ...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생체분자 나노구조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그런 다음 아연 집게를 이용해 각 DNA 가닥에 암 세포를 목표 생체분자와 항암 단백질을
결합
시키면 제작이 완료된다. 김학성 교수는 “생체 적합한 소재인 DNA와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새로운 나노 구조체를 개발했다”며 “세포 내 단백질 ... ...
건축물처럼 쌓아 만든 고효율 '수직형 다이오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6
반도체와 비슷하게 p형과 n형 반도체를
결합
한 형태로 시도했는데, 두 가지 반도체가
결합
해 있다 보니 환경 변화에 노출될 경우 접합이 불완전해 불순물이 포함되거나, 접합면에서 전위가 크게 변하며 전력이 손실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정 책임연구원팀은 한 가지 소재를 쌓아 안정적인 고성능 ... ...
'DNA 종이접기'로 누구나 쉽게 나노구조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0억분의 1m) 단위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DNA는 염기 두 종류씩 서로 짝을 이뤄
결합
한다. 이때 긴 DNA 가닥의 염기 순서를 미리 설계하면 짧은 가닥들이 붙을 위치를 정할 수 있고, 긴 가닥이 마치 종이접기를 하듯 접혀지며 구조를 형성한다. 지금까지 일부 전문가들만 이 방법을 이용해 DNA ... ...
알츠하이머 악화 원인 알고보니 '뇌 면역세포 기능 저하'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미세아교세포 표면의 ‘TLR4’ 수용체에 염증유도 물질이
결합
하면(염증이 생기면) 세포 내에서 ‘PI3K/Akt’ 신호전달 경로가 활성화되면서 자가포식 작용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미세아교세포의 자가포식 작용 억제는 Aβ 단백질 분해 저하로 이어져 알츠하이머병 ... ...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
과학동아
l
2019.01.08
보내는 전기 활성 시스템으로, 이번 연구는 디지털 세계와 식물에 존재하는 능력이
결합
된 하이브리드 식물”이라며 “이를 응용하면 식물 스스로 환경의 미세한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감지 플랫폼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 ...
도마뱀붙이는 물 위에서도 달린다
과학동아
l
2019.01.07
확인됐다. 로버트 풀 UC버클리 통합생물학과 교수는 “도마뱀붙이는 이 모든 방법을
결합
해 물 위를 걷는 독특한 생물”이라며 “물 위에서 움직이는 로봇을 만드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2월 6일자에 실렸다.doi:10.1016/j.cub.2018.10.064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