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점
미점
메리트
d라이브러리
"
좋은점
"(으)로 총 3,403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틱 용어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1909년 플라스틱이 처음 합성된 이래 수많은 플라스틱 재료와 제품이 쏟아져 나왔다. 이들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플라스틱 재료를 실생활에 쓰이는 제품들과 연관시켜 살펴보면…고분자(polymer)분자량이 대단히 큰(1만 이상) 화합물. 단백질 녹말 섬유소(셀룰로오스) 고무 등 천연 고분자화합물 ... ...
(3) 발암 위험성 높은 포장재 남용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좋은 원료를 사용해 인스턴트식품을 만든 뒤 잘 포장해 냉동차량으로 수송한다고 해도 문제가 생긴다. 하물며…대부분의 인스턴트 식품은 편리성을 그 첫번째 장점으로 내세운다. 포장재 그대로 전자렌지 등에 넣어지거나 스티로폴용기에 담겨 있으므로 편리하고 간단한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스 ... ...
(3) 땅속에서 썩는 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생활에 여러가지 편리함을 주는 플라스틱이지만 사용후 버렸을 때 쉽게 분해되지 않아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하고 있다.플라스틱은 오늘날 우리 인류의 문화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소재의 하나로 자리잡았으며 계속 그 응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은 그 우수한 성질로 ... ...
렌즈지름 10m벽 돌파하는 세계 최대 망원경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40여년 동안 지름 5m대에 머물렀던 광학망원경은 이제 막 10m의 기록을 돌파하려 하고 있다.인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시간과 기후 및 위치의 기준이 돼오던 밤하늘이 이제 문명의 발전과 함께 탐구와 도전의 대상으로 바뀌었다. '우주로 향한 창'을 활짝 열어 젖히려는 과학자들이 만들어낸 관측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발명에서의 실패는 두 가지 교훈을 준다. 무엇때문에 실패했는지를 알게 해주고,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스스로 독창적인 사람이 되라독창적인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그들은 스스로가 독창적인 사람이라고 믿고 있다. 그럼 독창성이 없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스스로 ... ...
타이탄의 대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대기층은 그 자체가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다. 강한 중력이 있는 천체는 가스분자들을 붙잡아 우주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따라서 달이나 수성처럼 작은 세계엔 대기층이 없고 화성엔 매우 얇은 대기층이 있을 뿐이다. 지구나 금성은 두터운 대기층을 갖고 있다.강한 중력만이 대기층을 형성 ... ...
콜레스테롤의 정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HDL과 LDL, 식물성 지방과 동물성 지방은 콜레스테롤의「선악」을 구분지어준다.자신의 건강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현재의 체중과 혈압이 어떤 눈금을 가리키는가를 알고 있을 것이다. 여기에 덧붙여 간기능상태를 알려주는 GOT GPT(간의 활성을 나타내는 효소들)치와 그리고 혈중(血 ... ...
(2) 황무지 상태의 시스템 설계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국산 전전자교환기 TDX가 외국산 교환기를 대체해가고 있는데 비해 국산 중형컴퓨터 타이컴은 왜 수요자가 없어 사장될 위기에 몰리고 있는가? 한때 세계적인 PC 수출국이던 우리나라가 최근 수출부진으로 쩔쩔매는 이유는 무엇인가?우리나라 과학 기술 중 설계분야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새 교과서가 아무리 좋은 과학적 내용을 담고 있다해도 일선교사가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그 알맹이는 학생들에게 제대로 전달될 수 없다.눈앞에 다가온 2천년대, 한국이 과학기술선진국으로 발돋움하려면 '전국민의식의 과학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부쩍 강해지고 있습니다. 오늘날 대다수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비행기를 만들기 위해 새의 모든 것을 이해할 필요는 없다. 날아가는 새의 모습에서 비행기의 힌트를 얻는다면 그것으로 족하다. 신경망컴퓨터는 두뇌의 신비가 다 풀리지 않더라도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인간의 두뇌를 닮은 또다른 인공두뇌이기 때문이다.고등학교 시절 '20년 후'라는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