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레고를 빌려드립니다! 레츠고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됐다.레츠고의 작업실에서는 이제 기계가 알아서 블록을 분류한다. 컨베이어 벨트 위에 블록을 쏟아 부으면,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블록의 색과 크기, 무게등을 읽고 분류한다.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된 기계는 소프트웨어가 알려준 대로 같은 블록끼리 한 바구니 안에 모아준다.권 대표는 올해 ... ...
- [과학뉴스] 햇볕으로 물 끓이려면 뽁뽁이가 필수!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여러 개를 뚫었다. 대류현상으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비닐하우스처럼 맨 위에는 버블랩을 덮었다. 연구팀이 이 장치를 수조 안에 넣고 햇볕에 두자, 서늘한 날씨에도 뜨거운 수증기가 생겼다. 연구팀은 “버블랩에 열이 한 번 갇히면 구리필름이 스펀지의 각 채널로 열을 빠르게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함께 펼쳐지고, 어깨를 들썩이면 나머지 손가락이 펼쳐지는 의수였다. 의수를 펴기위해 몸을 들썩이는 모습을 상상해 본다면 그리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디자인은 아니었다. 좀더 우아한 방법은 1857년, 미국 뉴욕의 발명가 윌리엄 셀보가 만들었다. 반대편 어깨에 줄을 매달고 의수 달린 팔을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5.8이나 되는 지진은 처음입니다. 규모는 암석이 끊어지면서 일으키는 진동에너지의 단위입니다. 1935년에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리히터가 동료인 베노 구텐베르크와 함께 만든 ‘리히터 규모’에 따르면, 지진파 에너지 E의 크기는 1011.8×101.5×M과 같습니다. 여기서 M이 지진의 규모입니다.이 공식을 ... ...
- [지식] 에르되시도 인정한 고난이도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0호
- n-1가지입니다. 그 중 1cm씩 떨어진 쌍은 총 n-1쌍 있지요.그러면 서로 다른 점 n개가 평면 위에 있을 때 서로 다른 거리가 최소로 나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f (n)을 서로 다른 n개의 점이 있을 때 반드시 찾을 수 있는 서로 다른 거리 수의 최솟값이라고 합시다.이라는 점이므로, 상금의 절반인 25 ... ...
-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가장 먼저 적막을 깬 건 창문이에요. 창문을 활짝 열자, 시원한 가을바람이 솔솔 들어옵니다. 창문은 쨍쨍 내리쬐는 가을 햇빛을 막아주는 역할도 해요. 햇빛을 차단 ... 모양이 달라 시야각도 다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창문 밖에서 몰래 보고 있는 비둘기에게는 최고의 위치가 아니에요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축제에 부스를 마련하고 로봇SW에 대해 알리기도 했다. 다양한 SW교육 활동을 하기 위해 힘쓴 조 교사는 지난해 수상의 기쁨을 누리기도 했다. 제45회 전국 교육자료전에서 ‘아두이노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폰무선 과학 실험’으로 국무총리상을 받은 것이다.SW는 새로운 기회현장에서 만난 학생들은 ... ...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망률 50%는 과장된 숫자입니다. 하지만 제산제를 장기간 먹었거나, 위 수술을 받아서 위산 분비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은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과 장염 비브리오균도 있는데요. 패혈증균은 치사율이 50%가 넘습니다.돼지콜레라와 관련 있다?마침 제주에서도 지난 6월, 18년 만에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발견(2002)하고, 중성미자에 질량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성과(2015) 외에도 인공위성을 발사해서 우주 엑스선원(2002)과 극초단파 우주배경복사(2006), 우주 가속팽창(2011) 등을 확인한 것 등이다. 그리고 대부분 물리학 분야에 집중돼 있었다(18건 중 15건, 생리·의학 2건, 화학 1건). 즉, 콘트랙트형 지원이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분포(케플러 우주망원경 등을 통해 알려져 있다)를 각 항성에 대입하면, 골디락스 범위에 들어오는 행성만을 추려낼 수 있다. 여기까지는 이전 연구에서 흔히 사용한 방식이다.한 가지 다른 건, 초신성 폭발의 영향을 축소했다는 점이다. 우리는 연구 과정에서 초신성 폭발이 생명체에 미치는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