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산행을 이어가야 한다. 기자는 등산스틱이 부러질 정도로 몇 번이나 미끄러졌다. 임 책임연구원은 멋쩍게 웃으며 “후배들이 안 오겠죠? 이런 일이 하기 싫어서”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거듭 “아 재밌다. 그래도 재밌지 않나요?”라며 웃어 보였다.그랬다. 잠시 동행한 것뿐이지만, 누구나 쉽게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리는 단백질 이동 시간이 불과 몇 분으로 줄어들었다.김 교수와 임 연구원은 앞으로 이 진단 기술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장치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나아가 칩 하나로 개별 세포의 구성 물질들을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는 기술까지 개발하는 것을 꿈꾸고 있다.교수와 ... ...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때문에, 기본적으로 수학적인 성숙도가 꼭 필요하다.진로기업이나 한국 전자통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같은 국책연구소에서는 암호와 보안 인력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양자컴퓨터에 대응해 새로운 암호체계를 개발하는 시기이므로, 앞으로 암호학자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날 것이다 ... ...
- 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정확하게 나왔다. 비흡연자인 기자는 ‘Never Smoker’로 추정됐고, 흡연자인 H 기자와 L 연구원은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경계 값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적인 흡연자는 다이 결과가 나온다. 이 교수는 “완전한 흡연자로 추정되려면 하루에 한 갑씩 수년간 흡연해 온 헤비 스모커(Heavy Smoker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오랜만에 만난 친구가 요즘 주말에 무엇을 하냐고 묻습니다. 저는 주로 사진을 찍고 다닌다고 말하며, 스마트폰에 저장해 놓은 사진을 자랑스레 보여줬어요.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컴퓨터로 옮겨 보정한 뒤 스마트폰으로 옮기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친, 나름 공들인 사진이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뭐 ... ...
- Intro. 수학으로 그린 꿈의 도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시장님, 이웃 도시에 사람이 넘쳐나 이곳까지 도시를 지어달라 아우성입니다. 건물 하나 세운 적도 없는데 도시가 웬 말이냐고요? 걱정 마세요. 보좌관인 제가 수학자와 과학자의 이론을 섭렵하고 특훈을 받았습니다. 도시 건설의 모든 것을 정리한 제 노트를 보여드리죠!먼저 여러 도시의 사례를 ... ...
- BREAK TIME. 우리 동네 소방서 집중 점검!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큰일 났습니다, 시장님. 제가 말을 많이 해서 목이 말라요. 물 마시고 오는 동안 소방서는 시장님이 직접 세워보시죠. 오른쪽 모눈종이를 이용하세요. 모눈종이의 선이 도로라고 가정하고, 한 칸의 길이는 1이라고 합시다. 완벽한 격자형 구조니까 맨해튼 거리로 계산하면 되겠네요. 이다솔 기자가 ... ...
- Part 3. 비상! 쓰레기 홍수 발생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시민들은 생활 쓰레기를 집 앞에 내놓습니다. 쓰레기차는 이를 모아 매립지로 옮겨요. 쓰레기차가 가는 가장 짧은 거리는 어떻게 찾을까요?쓰레기차가 1대라면, 최단거리는 ‘순회하는 외판원 문제’를 풀면 됩니다. 외판원이 도시 N개를 한 번씩 들렀다 올 때 최단거리를 구하는 문제예요. 외판원 ... ...
- Part 4. 거대 도시에서 행복하게 사는 법수학동아 l2017년 08호
- 2014년, 서울시에는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생겼습니다. 사람들은 차를 타는 대신 집 근처 거치대에서 따릉이를 빌린 뒤 직장이나 학교 근처에 반납하면 됩니다. 이처럼 거대도시는 차량 이용 자체를 줄여 교통체증을 해결합니다.그런데 관리를 해주지 않으면 자전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렵 ... ...
- [과학뉴스] 사람의 코 모양은 기후 탓?!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좁아져야 했기 때문이에요.연구를 이끈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아슬란 자이디 연구원은 “코 모양에 좋고 나쁨은 없다”며, “사람들이 살고 있던 지역의 환경에 따라 적응한 결과일 뿐”이라고 말했어요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