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운석 충돌 후 새로운 식물이 많이 자라기 시작했다. 주로 고사리 같이 생기고 매우 질긴 식물들이었다. 옛날의 꽃식물에 비해 영양가가 부족한데다가 추울 때는 시 ...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PART3. '
알
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15분 덜덜… 1시간 운동 효과?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똑같이 이리신이 분비되는 것을 보면 두 현상이 같은 유전자에서 비롯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둘의 공통점을 활용하면 비만 치료에 저체온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흰개미 닮은 로봇들 ‘살아있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그 옆에다가 내려놓는 방식이다.연구팀은 이런 흰개미의 스티그머지 특성을 바탕으로
알
고리듬 ‘테르메스’를 구현했다. 테르메스를 장착한 흰개미 로봇들은 ‘나무 블록 더미를 쌓아라’라는 목표만을 가지고 빈 곳에만 나무 블록을 두라는 명령을 받았다.그 결과 각각의 로봇은 독립적으로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다시 보니 9000원이다. 당황했는가? 그래도 여러 번 측정하면 얼마가 나올지 그 확률은
알
수 있다. 이것이 양자역학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예측이다.정리해보자. 측정하는 행위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 위치와 운동량을 모르면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심의 과정에서 오류 잡아야취재를 하면서 든 가장 큰 의문점은 인터넷 검색만 해보면
알
수 있는 내용이 교과서에 실린 경위다. 사실 교과서 집필진은 철저한 자료 조사를 통해서 오류가 없는 내용을 교과서에 담아야 한다. 그런데 A 수학교과서의 인용 자료를 보면 33개 중에 단 3개만이 논문이고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바로 직전에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그 지점이 ‘광화문 사거리’일 확률이 얼마인지를
알
려 준다. 이후에도 로봇은 마르코프 과정으로 판단한 위치 정보를 이용해 이후에 나타날 지형지물을 예측한다. 이때도 ‘숭례문이 나타날 확률이 얼마’와 같은 방식으로 예측한다.냄새 맡고 길을 찾는다 ... ...
PART3. '
알
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현대 공룡 연구의 대세는 뭘까. 새로운 공룡을 발견하는 것? 그렇지 않다. 요즘 학자들의 가장 큰 관심은 공룡의 생태를 밝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티라노사우루스 ...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PART3. '
알
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것은 아닐까?블랙홀과 양자역학을 둘러싼 이런 혼란이 결국 어떻게 해결될지는 지금
알
수 없으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지난 20년간 초끈이론과 양자중력의 발전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이 바로 블랙홀과 양자역학이 공존할 수 있느냐, 그리고 그렇다면 정확히 어떻게 공존하느냐 하는 물음이라는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많다는 연구를 소개하고 있다. 암컷이 여러 수컷과 짝짓기를 하고 그 사실을 수컷도
알
경우, 가장 좋은 전략은 한번 사정할 때 나오는 정자의 양을 늘리는 것이다. 정자의 양은 정소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이런 동물은 정소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쪽으로 진화한다.실제로 수컷끼리 ‘힘대결’을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Stand by, stand by. All Station stand by.”1월 30일. 선내를 가득 울리는 경보음과 함께 쇄빙연구선 ‘아라온(선장 김봉욱)’이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 ... 283km 떨어진 이들은 과연 어떤 소식을 전하게 될까. 남극 땅을 마지막으로 밟으며, 아무도
알
지 못하는 겨울을 맞이하게 될 이들이 부러워졌다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