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자기
보재기
보제기
보
d라이브러리
"
보자
"(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인 스콜피오스의 음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연구하고 있었다. 이 기록을 자세히 읽어 보고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알아맞혀
보자
. 문제를 모두 맞혔나요? 우리의 위대한 썰렁 홈즈는 문제를 모두 풀었다는군요. 결국 외계인들은 2004년 10월 5일 지구대기권에 있는 산소를 모두 빼앗아 지구를 자기들 손에 넣겠다는 것이었어요. 어? 그런데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갖고 있는 것도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B형의 피에 침입한 A형 미생물을 생각해
보자
. 피 속에 자신을 공격하는 항체가 가득 들어 있다면 이 속에서는 살아 남기 힘들다. 반면 A형의 피 속에서는 생존 확률이 좀더 높아져 병을 더 잘 일으킬 것이다.동물도 다양한 혈액형을 갖고 있다. 특히 개는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바람을 잡는 자가 초고층을 지배한다 중국 상하이에 세워지고 있는 세계금융센터(WFC)를
보자
. 492m 높이의 이 건물은 상층부에 거대한 구멍이 나 있다. 마치 포탄을 맞은 듯이 둥그렇게 뚫린 이 구멍은 지름이 51m로 축구경기장의 절반 만한 크기다.이러한 형상은 건축의 미적 요소가 아니라 바람에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침팬지보다 우리의 몸에서 훨씬 더 많은 곳에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는 증거다.다른 예를
보자
. 인간과 침팬지는 모두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유전자를 갖고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스반테 파보 박사는 2002년 6월 “인간은 침팬지보다 기억을 담당하는 단백질을 두 배나 더 많이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나이테. 이 사진은 지구 역사의 한 장면을 담고 있다.사진의 가운데 부분 나이테를 주목해
보자
. 536-537년에 형성된 이 나이테는 다른 주변 나이테와 달리 가운데 부분이 심하게 변형됐다. 이는 수액을 얼게 할 정도로 여름에 기온 이상 냉각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기상 재해는 근세 화산활동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다. 세포를 구성하는 성분에서 최첨단 나노신소재로 변신한 생체분자의 세계를 들여다
보자
.DNA가닥으로 만든 정8면체 먼저 생명체의 유전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하는 매체인 DNA를
보자
. DNA가 나노소재로 관심을 끄는 이유는 먼저 DNA이중나선의 크기가 나노스케일이기 때문이다. DNA는 5개의 탄소로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의 주제로 화제가 되고 있는 후각수용체를 예로 들어 설명해
보자
.후각세포표면의 후각수용체분자는 냄새분자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므로, 이들 분자를 이용하면 수많은 냄새를 인지하고 구별해 내는 인간의 코를 재현한 후각바이오센서의 개발이 가능하다. 필자의 ... ...
물 속에 빛을 가둬라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뭐라고? 이리 줘봐. 내가 찾아볼게.모험이: 앗! 슬기야. 저 앞에 뭔가 반짝거려. 저리로 가
보자
.슬기 : 오빠, 저거 혹시 헨젤과 그레텔의 과자의 집이 아닐까?모험이 : 에이, 저건 투명하잖아. 일단 집으로 들어가
보자
. 계속 반짝거리는 것이 있어.슬기 : 앗! 저길 봐! 오빠, 저게 뭐지?모험이 : 저건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치료하는 유산균도 개발 중이다.막연히 몸에 좋다고만 알고 있던 유산균의 진가를 만나
보자
.어린이 설사에 탁월한 효과성인의 장에는 약 4백가지 종류의 세균이 살고 있다. 그 무게를 합하면 자그마치 1천g. 이 중에는 유익한 세균보다 해로운 세균이 더 많다. 장내 유해균은 각종 유해물질과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맞는 냄새를 찾아내는 것이다.후각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을 ‘분자 수준’ 에서 살펴
보자
. 냄새 분자가 후각 수용체와 결합하면 후각특수단백질(G단백질)이 활동하기 시작한다. 이 단백질은 수용체에 붙어 있는데 냄새 분자가 이 단백질을 깨우는 일종의 스위치가 된다. 스위치가 켜지면 G단백질에서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