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무엇이든 집어 먹는 버릇이 있기 마련이고, 깜찍하게 움직이는 탐사 로봇을 보자 바로 그 버릇 그대로 그것을 홀랑 손가락으로 집어 입에 넣어 버렸던 것이다.아기의 작은 입 속으로 들어간 탐사 로봇은 그대로 통신이 차단되었다. 그리고 그 통신이 회복된 것은 시간이 한참 지나서, 다시 아기의 몸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농구 선수 ‘ 순시카네 꼬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바닥에 아주 중요한 인물이 나타났습니다. 조각 퍼즐을 맞추면 누가 나타날까요? 힌트는, 바로 어과동 창간호 표지 주인공이라는 사실!”다행히 동점에 성공한 썰렁홈즈를 보고 심판이 크게 외쳤다!“썰렁홈즈 우승!”그리고 나서 심판은 다시 ‘순시카네 꼬를너’의 손을 들어 주며 말했다 ...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파리는 눈으로도 쫓아가기 어려울 정도로 현란한 비행 기술을 갖고 있어요. 바로 벌레의 날개 재질과 날갯짓 속도 덕분이지요. 벌레의 날개는 아주 얇은 막과 ●시맥으로만 구성되어 있어서 매우 가벼워요. 그래서 1초에 수백 번이 넘는 날갯짓을 할 수 있답니다.●시맥 : 벌레의 날개에서 볼 수 있는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남편 이야기는 아니다. 차가운 도시 여자가 입에 담기엔 너무나 부끄러운 이야기, 바로 똥이다. 동물의 소화기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최근 ‘똥구멍의 물리학’을 밝혀내 화제다.미국 조지아공대 기계공학과 패트리샤 양 연구원(박사과정)이 e메일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예로부터 인류는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3집 타이틀곡 ‘분홍신’을 들어보자. 밀고 당기는 박자에 몸이 저절로 들썩인다. 이게 바로 재즈다. 아이유는 ‘분홍신’을 즉흥연주 기법으로 녹음했다. 전체 흐름만 정하고 멜로디와 박자는 연주자들이 즉석에서 만든 것이다. 이런 즉흥연주는 재즈의 핵심이다.제멋대로인 것처럼 보이는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많은 자식을 만든다. 곧, 착한 사람들이 많은 집단은 악한 사람들이 많은 집단을 이긴다. 바로 우변의 첫 번째 항, 즉 집단 수준에서 이뤄지는 선택이다. 그러나, 언제나 문제는 집단 내의 개체 수준에서 무임승차자는 협력자를 착취해 번성한다는 점이다. 한 집단의 협력자 빈도가 50%라면, 이 집단이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면역체계 피해가는 지독한 암하지만 이런 면역체계도 허점을 보이는 질병이 있다. 바로 암이다. 암은 자기 자신의 세포에서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항원이 숙주의 항원과 비슷하다. 즉 면역체계가 인지하기가 어렵다. 또 암세포가 워낙 다양해서 항원 역시 종류가 많기 때문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비밀 훈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만수르는 빙긋 웃으며 말했어요.“비밀! 비행기가 고도를 낮추네. 벌써 다 왔나 봐.”바로 그 순간, 비행기가 앞쪽으로 심하게 기울어졌어요.“아얏! 귀…, 귀가 아파!”그러자 만수르가 당황한 표정으로 말했어요.“다들 괜찮아? 비행기에 문제가 생긴 것 같아!” 비행기를 타면 귀가 먹먹해지거나 ...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바닷물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는 바로 ‘삼투현상’ 때문이에요. 바닷물에는 흔히 소금이라고 부르는 염화나트륨을 비롯해 여러 ‘염류’들이 포함돼 있어요. 이렇게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류들을 모두 합쳐 ‘염분’이라고 불러요. 전세계 바닷물의 평균 염분 ... ...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불러요. 수하가 빈대떡 두 장이 겹친 걸 보고 벤 다이어그램을 떠올린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지요.벤 다이어그램은 영국의 수학자 존 벤의 이름을 따서 만든 용어로, ‘집합’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이에요. 연필, 지우개 등을 필통에 담아 놓은 것처럼 집합은 조건에 맞는 숫자나 문자를 한 데 모아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