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와 골짜기가 만든 동해 가스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월 10일 민간 석유탐사업체인 지구지질정보는 “전북 군산에서 남서 방향으로 40km 지점에
국내
에서 10년 동안 쓸 수 있는 11억5000t의 석유가 매장된 유전을 발견했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사실이라면 아시아에서 제일 큰 유전이다. 이 회사는 러시아 지구정보분석연구소와 함께 위성을 이용해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개방이다”고 강조했다.과학자가 자원봉사자로 참여하루 방문객 3만2000여명, 이 정도는
국내
최대 테마파크인 에버랜드의 하루평균 방문객 수와 거의 비슷하다. 그렇다면 CERN은 어떻게 이 많은 사람들을 제대로 맞이할 수 있었을까?운영의 핵심은 CERN 과학자들의 자원봉사에 있었다. 행사장 ... ...
KIST 폭발물 제거 로봇 이라크 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국내
에서 개발된 폭발물 제거 로봇 ‘롭해즈’ 가 이라크에 파견된 자이툰 부대에 배치돼 11월부터 실전에 사용된다. 이 같은 사실은 롭해즈를 개발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전병헌 국회의원(열린우리당)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서 밝혀졌다.롭해즈는 주야간 정찰 및 도로에서 폭발물 수색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햄 소시지와 같은 식품가공에 이용할 수도 있다.최근 대량생산에 성공한 아라자임은
국내
는 물론 미국, 일본, 중국, 브라질 등 해외시장에서 주목을 끌기 시작했다. 현재 아라자임의 특성과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국가차원의 ‘미생물유전체 프런티어 연구개발사업’의 하나로 후속 연구가 진행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분당자연사박물관 등이 있다.경북 영덕군에 있는 경보화석박물관은
국내
최초의 화석 전문박물관이다. 세계 20개국에서 모은 화석 2천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삼엽충, 암모나이트를 비롯해 규화목 등 다양한 식물화석도 있다.대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안에 있는 지질박물관에는 티라노사우르스의 ... ...
가장 잘 보존된 한국 공룡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갈비뼈 9개 등이다. 또 15개의 공룡알 둥지와 1백30여개의 공룡알 화석이 추가로 발견됐다.
국내
에서는 1973년 경북 의성군에서 공룡뼈 화석이 처음 발견된 이후 경남 합천군과 진주시, 전남 보성군 등 10여곳에서 공룡뼈 화석이 나왔으며 원형의 15%가 발굴된 게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계속 흐르면서 산소를 공급받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돼왔다. 이 교수는 지난 1991년
국내
에서 심장수술 후 폐기능이 악화된 환자를 체외순환을 이용해 5일간 밤샘 끝에 소생시키기도 했다.이런 이 교수에게 어느날 송 교수가 연락을 했다. 조산아를 살릴 방법을 고민하던 중 체외순환을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구는 시작된지 불과 20-30년. 문 박사가 표면과학에 몸담은지 벌써 20년이 넘었으니
국내
표면과학 연구를 개척한 장본인이 바로 그인 것이다.우리나라 주력 산업인 반도체 분야에서도 표면과학은 매우 중요하다. 미세한 회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도체 소자 표면에 붙이고 깎는 일을 반복해야 하기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하는지도 미지수다. 지금까지는 교신이 있을 것이라는 심증은 있지만 물증은 없는 상태.
국내
에서도 2002년 단백질 분해 연구회가 조직돼 연구정보를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회원 중에는 원래 단백질 분해를 연구하던 과학자도 있지만 다른 분야를 연구하다가 단백질 분해 쪽으로 발을 들여놓게 된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인공광합성시스템을 만들어 효율이 높은 태양전지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분자이기 때문.
국내
에서는 연세대 화학과 김동호 교수팀의 연구가 활발하다. 김 교수는 “포피린은 링같이 생긴 분자로 빛에너지를 받아 생성된 전자를 오랫동안 머무르게 할 수 있다”며 “여기에 C60, 즉 풀러렌 등 역시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