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각변동도 미리 알 수 있다과학동아 l1993년 04호
- 각 위성이 송신하는 거리측정신호는 P코드(Precision code)와 C/A코드(Clear Acquisition)의 2종류로 구분된다. P코드는 정밀측정을 목적으로 한 코드로서 변조속도가 10.23Mbps이며, L1과 L2의 2개주파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전리층 및 대기의 상태에 따른 전파지연오차 발생시 보정이 가능하며 C/A코드에 비해 보다 ...
- 아마추어 과학모임 총정보과학동아 l1993년 04호
- 프로는 우선 하는 일이 생업이냐, 아니냐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학생들에게 비유하면 학업이냐, 아니냐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반인에게 아마추어 활동은 취미생활이 될 것이며 학생들에게는 과외활동이 될 것이다. 아마추어 과학이란 말은 이런 의미를 전제로 사용해본 것이다.1 ...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3년 03호
- 문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파망원경은 수천분의 1도까지 정확한 각도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하며, 천체의 움직임을 정확히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 현재 대덕전파망원경은 구경 14m 망원경의 가장자리가 0.05mm 움직인 것까지 감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전파망원경으로 ... ...
- ① 말은 동물의 소리와 무엇이 다른가과학동아 l1993년 03호
- 않다.결과를 보면, 벨벳 원숭이는 각기 다른 음성을 음향적 특성뿐 아니라 의미에 근거해 구분한다는 점이 명백했다. 같은 개체의 우르르와 쳐터를 들려주면 원숭이의 순화는 이들 음성 사이로 전이됐다. 즉, 개체 A의 '우르르'에 순화된 원숭이는 같은 개체 A의 '쳐터'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과학동아 l1993년 03호
- 따라서는 원순모음과 평순모음으로 구분한다.이런 기준에 따라 한국어의 단순모음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자음은 조음점과 조음방법, 그리고 성문의 상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우리말을 중심으로 이 기준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조음점에 의한 분류이 분류는 고정부(입천장 윗니 ... ...
- 컴퓨터 명령을 간편하게 처리하려면과학동아 l1993년 03호
- PATH=C:\;C:\DOS;C:\NORTON;C:\PCTOOLS 등과 같이 각 드라이브와 디렉토리를 ;(세미콜론)으로 구분하여 계속 등록해두면,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일단 현재의 디렉토리를 찾아본 후에 그 프로그램 파일이 없으면 PATH 명령에 의해 등록된 순서대로 검색하여 실행시켜준다.다음으로 필요한 항목이 ... ...
- ① 시뮬레이션 어드벤처게임 오름세과학동아 l1993년 03호
- 가정용 비디오 게임기를 개발하기 시작했다.문학이 시 소설 수필 등으로 장르가 구분되듯이 컴퓨터 게임 역시 크게 어드벤처(adventure) 롤플레잉(role playing) 시뮬레이션(simulation) 아케이드(arcade) 네가지로 나눌 수 있다.아케이드 게임은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고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게임으로 ... ...
- 초고속선 개발 경쟁시대 왔다과학동아 l1993년 03호
- 선체구조 경량화기술, 선체 운항자세 제어기술, 설계 및 건조기술 등의 다섯가지 기술로 구분된다. 초고속선의 5가지 핵심기술고속화 기술은 가능한 한 적은 동력으로 요구되는 속력을 얻을 수 있도록 선박의 중량을 지지하는 세가지 힘, 즉 부력 양력 공기압력을 적절히 조화시켜 저항을 ... ...
-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과학동아 l1993년 03호
- 구조를 찾아내는 통사적 파싱이 있는가 하면, 단어 내의 더 작은 의미 단위인 형태소를 구분해 궁극적으로 단어의 구조를 밝혀 내는 형태적 파싱도 있다.형태적 파싱은 영어와 같이 상대적으로 단어의 형태 변화가 단순한 언어에 비해 우리말과 같이 형태소가 발달된 언어의 파싱에 필수적인 단계다. ... ...
- 앵무새·구관조의 비밀과학동아 l1993년 02호
- 지낸다. 새들도 지능이 제각각이어서 같은 조건에서도 말을 잘하는 새와 못하는 새로 구분된다. 외국 기록이기는 하지만 4백단어까지 구사한 새도 있었다고 전한다.국내에서 쉽게 말을 가르칠 수 있는 새는 구관조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앵무새를 한단계 위로 생각하고 동작이 재미있어서인지, 더 ... ...
이전2832842852862872882892902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