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습
연구
면학
스터디
학업
수업
글공부
d라이브러리
"
공부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서강대 정순영 교수의 '수학자 10억 만들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공부
로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어려운 분야를
공부
하기 싫어하는 학생이 많은 지금이 바로 기회다. 다른 사람이 가지 않는 길을 혼자 걷는다면 그 길은 분명 성공의 길이 될 것이다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사람 두뇌의 집중력과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음향 패턴을 개발해 이를 학생들의
공부
방이나 교실에 틀어주는 방법도 연구될 수 있다. 특히 수많은 소음성 난청환자를 양산하던 산업현장은 이런 소음제거기술과 음질개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쾌적한 작업환경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소음이 ... ...
정재승 교수가 이끄는 대학생 연합 동아리 '꿈꾸는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완성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차츰 사고의 전환을 경험하기도 했다.“왜 하냐,
공부
에 도움이 되냐는 식의 말을 들어요. 이 모임에서는 이제까지 어떤 문제가 해결됐는지, 다른 사람이 어떤 다양한 생각과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지를 글로 쓰면서 생각을 정리할 수 있어요. 미지 과학세계를 ... ...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암기로는 습득할 수 없는 ‘실력’이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맘껏
공부
한 12년간의 유학생활“1980년 28살의 나이에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뉴욕공항에 내렸을 때 벅찬 감격은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너무나 넓고 깨끗하고…. 아, 이게 선진국이구나 싶더군요.”서른을 바라보는 ... ...
3차원 마이크로 영상 시대를 여는 레이저형광현미경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를 관찰한 일일연구원은 이내 탄성을 지르며 현미경
공부
에 몰입했다. 이어서 동물세포를 배양해 정상세포와 암세포를 비교 관찰했다.현미경으로 세포를 관찰하는 일이 익숙해졌다고 판단한 이 연구원은 레이저형광현미경 관찰을 위한 준비단계로 일일연구원에게 살아있는 ... ...
노 대통령은 발명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하던 젊은 시절 ‘독서대’를 만들어 발명특허를 획득한 것은 물론, 당시 함께
공부
하던 친구 2명과 회사를 차려 제품화까지 성공하기도 했다. 한편 지난가을에는 감 따는 장비를 개발, 청와대 관저 주변의 감을 수확했다고.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이 5월 19일 발명의 날을 맞아 청와대 홈페이지의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만들어지지 않았다. 여기에는 당시 스스로 주장막대로 박자를 짚으며 중국의 율려신서를
공부
한 세종대왕과 음률에 통달한 박연 등이 기여한 바가 크다. 세종장헌대왕실록 15년 1월 1일자를 보자.왕은 새로 만든 편경 두틀을 가져 오라 하여 중국에서 준 편경과 맞춰보더니 크게 기뻐하면서 “중국의 ... ...
KT대표이사 사장 이용경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연구현장에서 중요하게 느꼈다고 말한다.“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원 수강이나 과외
공부
로 많이 시달리는데, 이들에게 새로운 것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성세대가 어떻게 해주느냐에 따라 청소년들이 바뀔 수 있으니까요.”그래서인지 이 사장은 과학한국을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고래 연구의 최우선 과제다. 무분별 포획 막으려는 노력원래 고래 연구는 해부학을
공부
하는 의학자들이 처음 시작했다. 그러다 20세기초 지나친 남획으로 자원이 고갈될 것을 우려한 포경국들은 1930년대 고래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공조에 들어갔다. 1946년 국제포경규제협약이 체결된뒤 ... ...
사무엘 모스, 유선 통신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발명에 뛰어든 것은 순전히 우연이었다. 1829년 모스는 초상화 그리던 일을 접고 그림
공부
를 더 하기 위해 다시 유럽으로 향했다. 3년 뒤 귀국길에 오른 모스는 여객선 살리호의 선상에서 보스턴 대 교수인 잭슨과 알게 됐다. 그와 나눈 대화의 주제는 전자기 원리에 관한 것이었는데, 이때 모스는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