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6,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에 꼭꼭 감춰진 보물, ‘딥스카이’
과학동아
l
200810
때 가장 중요한 장비는 망원경이다. 망원경은 밤하늘이라는 거대한 바다 곳곳에 숨은
작은
미생물 같은 딥스카이를 들여다보는 현미경인 셈이다. 하지만 망원경이 없어도 ‘디카족’이라면 하나 정도 갖고 있을만한 망원렌즈로도 훌륭한 딥스카이 사진을 찍을 수 있다.망원렌즈는 보통 초점거리 50mm ... ...
[지구과학]암석의 변성작용
과학동아
l
200810
증발이 활발할수록 증기압력이 높으므로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작고 분자 간 인력이
작은
물질의 증기압력이 크다. 물과 얼음은 분자량이 같으나 액체인 물이 고체인 얼음에 비해 분자 간 인력이 작으므로 증발이 쉽게 일어나고 증기압력이 커진다. 과냉각된 물은 얼음 알갱이에 비해 포화수증기압이 ... ...
로지스틱 곡선으로 보는 성장모델
과학동아
l
200810
이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dN/dt = kN(t)(k-N(t)/K)(k는 비례상수) … ③ N(t)가 K보다 훨씬
작은
감염 초반에는 K-N(t)?K가 돼 식 ①로 근사된다. 감염 후반에는 N(t)?K가 돼 식 ③이 식 ②로 근사된다. 0?N(t)≤K일 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이 식을 도식하면 와 같이 S자 형태의 그래프가 그려진다. 그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10
나는 그날 연주보다도 내가 한 이 멘트 때문에 회사에서 유명해졌다. 부산의 한
작은
점포에서 여성용 크림을 사기그릇에 넣어 팔다가 이것이 잘 깨지는 걸 고민하던 구인회 창업주는 플라스틱 용기를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룹의 모태인 ‘락희화학공업사’(현재 LG화학)가 탄생한 배경이다. ... ...
반짝반짝~ 별들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
떨어져 있답니다. 한 마리 나비처럼 NGC 624030만 년 전부터 합쳐지기 시작한 두 개의
작은
은하가 한 마리의 나비처럼 보여요. 수억 년 뒤, 이 두 은하는 완벽하게 합쳐져 지금보다 훨씬 큰 하나의 은하가 될 거라고 해요 ... ...
소금의 결정은 정육면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
소금 알갱이를 물에 녹이고 소금물이 증발하기를 기다리면 되거든요. 소금물이 증발하면
작은
소금 결정이 만들어지기 시작해요. 이 소금 결정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자라 커다란 정육면체 모양을 한 소금 결정이 될 거예요 ... ...
천하무적 슈퍼항생제
과학동아
l
200809
물리칠 슈퍼항생제를 개발하지 못하면 인류는 1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크기의
작은
박테리아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할지도 모른다.사이버 박테리아 이용해 슈퍼항생제 만든다슈퍼박테리아의 공격 속에서 인류의 미래를 지킬 방법은 뭘까. 전세계 의료계와 생명공학자들은 슈퍼박테리아를 잠재울 ... ...
이슬람 사원 장식에 숨어 있는 수학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9
흥미로운 사실은 거품이 위에어-펠란 구조를 보인 다는 것. 거품 크기가 같을 때 가장
작은
표면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자연은 가장 적은 재료를 써서 가장 효율적인 구조물을 만든 셈이다. 마치 2차원 배열일 때 정6각형 구조를 택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베이징올림픽 수영장은 거품의 ... ...
그 많은 들쥐는 누가 다 먹었을까?
과학동아
l
200809
천연기념물(제324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올빼미는 곤충부터 개구리, 물고기,
작은
들새와 들쥐까지 동물성 먹이를 주로 먹는다. 이가 없기 때문에 먹이를 통째로 삼킨다. 그래서 몇 시간 뒤 소화시키지 못한 털이나 이빨, 뼈, 발톱이 뒤섞인 덩어리를 토해낸다. 이를 ‘펠릿’(pellet)이라고 ...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길 연다
과학동아
l
200809
고분자가 스스로 조립돼 나노기둥을 만들 수 있는 틀이 됩니다.” 중합체 즉 고분자는
작은
단분자 수백~수천 개가 서로 연결된 사슬 같은 모양을 한 구조다. 칫솔부터 페트병까지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은 모두 중합체로 이뤄져 있다. 생명체의 정보를 담고 있는 DNA나 RNA 사슬도 물론 중합체다. ... ...
이전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