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수를 앞의 자리로 올려 준다. 2, 12, 5이므로, 12에서 1을 백의 자리로 올린다. 그러면 (2+1)×100+2×10+5×1=325가 된다.2. 존 네이피어의 계산막대 곱셈법 과정 ❶ 곱셈식에서 왼쪽에 해당하는 수의 계산막대를 일렬로 나열한다.과정 ❷ 곱셈식에서 오른쪽에 있는 수 1, 3에 해당하는 첫 번째와 세 번째 행을 ... ...
- [환상 퍼즐여행2] 수학 기면증에 빠진 세계수학동아 l2013년 05호
- 학생들이 수없이 많았던 것이다.“이 병은 대체 뭐죠?”“수학 기면증이라네. 이 병은 100년 전에 전세계를 강타했지. 하지만 약과 백신이 개발돼 완전히 사라졌는데, 왜 이제와 다시 번지는지 영문을 모르겠어.”“약과 백신이 있다고요? 왜 약을 쓰지 않죠?”하루의 질문에 의사의 얼굴이 ...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전혀 엉뚱한, 필요없는 형태로 바뀌는 경우가 많아. 예를 들어 화석연료에 에너지가 100만큼 있다면 이 화석연료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만들 때 전기에너지는 20만 만들어지고 80이 열 에너지로 바뀌는 거지. 에너지 효율이 20%밖에 안되는 셈이야. 영구기관은 에너지 효율이 100%야. 이게 얼마나 ... ...
- 엄마! 수학 잘하게 형 낳아 주세요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수학 점수가 잘 나오냐고 물었다. 그는 “형 있는 사람이 수학을 잘한다는 것은 수학 100점을 받는다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어디까지나 언어보다 수학을 잘한다는 말이다. 바로 ‘동료효과’때문이란다.동료효과는 동료의 행동과 사고방식에 영향을 받아 개인의 행동이 변하는 것을 말한다. 2009 ...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경쟁하지 않는다. 신갈나무는 전남 대둔산에서부터 함북 온성에 이르는 지역의 해발 100m 높이에서 1800m까지 전국 각지에서 살고 있다. 상록침엽수인 구상나무는 제주도 한라산 해발 1200m지점을 중심으로 제한된 지역에 분포한다. 두 나무는 최적 환경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서식지 확보를 위해 경쟁할 ...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이런 필요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가 취재 첫날 방문한 ‘빅터 인슐레이터’다. 이 기업은 100년에 걸쳐 세라믹 전기 절연체를 생산해 왔다. 그러나 중국 기업에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면서 사업이 침체에 빠져 있다. 이라 닉커보커 사장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고 ... ...
- [4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4호
- 30~50% 정도 줄어들며 종이생산과 관련한 대기오염을 95% 가까이 줄일 수 있다.매년 약 100만 그루의 나무를 낭비하게 되는 고3들의 마음도 편치 않고 지구의 나무들도 편치 않다. 환경문제는 단편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발생하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가 환경문제로 ...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사막화 현상을 겪고 있다. 도시 기후를 전공한 권영아 건국대 지리학과 박사는 “지난 100년간 세계 평균기온이 0.74℃ 상승했다면 서울은 2℃ 넘게 올라 상승 폭이 두 배 이상”이라며 “아직까지 집중호우와 같은 물난리에 관심이 쏠려 있고 생활할 때 물 부족 현상을 체감하지는 못하겠지만 대기 중 ... ...
-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필요하다. 1970년대 초반 도심의 팽창을 막기 위한 그린벨트 덕분에 서울 주변의 해발고도 100m 이상 산악지역은 무분별한 개발이 억제됐다. 이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는 냉기류가 서울 도심 주변 산지에서 형성돼 서울에 공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정책에 따라 수십 ...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전부터 예측해 온 입자가 있는데, 적절한 질량을 지니는 미지의 입자를 새로 발견했다. 100% 확신할 수는 없지만, 정황상 힉스일 가능성이 높다’였고, 당시 내릴 수 있는 최선의 결론이었다.연구가 미진했던 것은 아니다. 입자물리학 연구는 데이터가 생명이다. 수없이 많이 일어나는 잡음 같은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