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길
대로
거리
길거리
번화가
한길
행로
d라이브러리
"
큰길
"(으)로 총 3,079건 검색되었습니다.
성취를 향한 힘찬 발걸음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정말 오랫만에 S빌딩에 위치한 컴퓨터 전시장에 들려 보았다. 몇 군데 달라지기는 했지만 나에게는 여전히 친숙하게 느껴지는 곳이었다.전시장은 컴퓨터에 몰두해 있는 사람들로 분주했다. 열심히 키를 두드리고 있는 꼬마아이 하나가 눈에 띄었다. 가까이 가 보았다. 집에서 작성한 베이직 프로그 ... ...
하나의 신약이 나오기까지 0.01%의 가능성을 찾는 일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병이 자물쇠라면 약은 열쇠이다. 그런데 이 열쇠를 만드는 일이 대단히 어렵다. 그래서 종래에는 외국에서 이미 완성된 것을 도입하여 썼다. 그러나 물질특허보호는 열쇠의 제조를 더 이상 늦출 수 없게 한다.세상에는 수많은 약들이 있다. 배 아픈데 먹는 약, 머리 아픈데 먹는 약 등 종류도 다양하 ... ...
컴퓨터 조기교육을 제대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미취학 아동이나 국민학교 저학년생들에게 컴퓨터를 가르치는 것은 필요하나 매우 어려운 일. 교육자의 능력이 더욱 요구되고 아동들의 심리적 특성에 맞는 소프트웨어 도구들이 많이 개발되어야 한다.현대 사회에 있어서 컴퓨터는 정부 기업 연구소 학교 등은 물론 일반가정 개인에 이르기까지 ... ...
홍일점의 외로움은 견뎌내며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고교시절에는 즐거운 서클활동도 했다. 적당한 시기에 공부에 매달린것이 큰 도움이 됐고…"여학생이 왜 공대에 들어가게 됐어요?" 아마도 내가 대학에 입학한 후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일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 질문에 대해 만족할 만한 답변을 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나는 어릴 때부터 유명한 과 ... ...
서독「막스 플랑크」분말야금 연구소를 보고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필자는 85년 7월 한국―독일 공동연구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인 구조용 세라믹스 개발 과제에 참여하여 1년동안 남부 독일의 공업도시 슈투트가르트 막스플랑크 분말야금 연구소에서 일했다. 필자는 우리나라 정부 출연연구소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비교함으로써 우리 연구소가 개선해야 할 점을 ... ...
'제2지망'이 일생의 학문으로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화목하고 즐겁게 지내오던 우리 가정에 감격적인 해방의 종소리는 오히려 불행을 가져다 주었다. 그토록 목마르게 기다리던 해방의 종소리는 우리 재일교포들에게도 들려왔다. 교포들은 해방이 마치 모든 삶의 터전을 주는양 착각했다. 그래서 그들은 연락선을 타고 한국으로 속속 귀향하였다. ... ...
과학과 가치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인류를 되살릴 새로운 가치의 창조에 과학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과연 과학은 가치중립적인가? 아니면 가치의존적인가? 그것도 아니면 가치가 과학의존적인가? 오늘날의 과학기술이 우리에게 물질적인 풍요와 생활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음은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풀리지 ... ...
갈등과 방황끝에 찾아낸 결론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제1 지망 불합격, 제2 지망 합격, 4년전 나의 삶의 방향을 돌려놓았던 그 순간이 아직도 어제 일인 양 생생하다.그날 이후, 다시 나를 가다듬기까지 얼마나 많은 방황을 하였나? 스스로를 아웃사이더로 몰아갔던 대학1학년 시절도 지금 돌이켜 보면 하나의 애틋한 추억으로 떠오른다.공부만이 생활 ... ...
기업간 거래도 전산처리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정보통신시대가 서서히 개막되고 있다. 그룹간 통신망뿐 아니라 거래가 이루어지는 모든 기업을 엮어 서비스하는 부가가치통신망도 자리잡고 있다.18세기말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모든 산업분야는 증기기관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경이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철도의 등장과 증기기관을 이용한 ... ...
이색동·식물과 민속자료를 한눈에 제두도 민속자연박물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제주도는 화산활동으로 인해 생겨난 섬으로서 그 자연환경이 독특하다. 화산폭발의 흔적을 보여주는 여러가지 지질학적 현상들을 비롯, 서식하고 있는 각종 동식물들이 육지의 그것과는 사뭇 다르며, 여기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풍습도 마찬가지로 이색적이다.이처럼 육지와는 다른 제주도의 자연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