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d라이브러리
"
적은
"(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찰칵 사진으로 떠나는 생태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자연이라는 울타리 안에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수많은 생물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어요. 그 친구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는 만화영화 못지않게 흥미진진하답니다! 그래서 지금부터 다양한 생물들의 이야기를 만나러 떠날 거예요. 다 함께 사진 속으로 출발~!* 이 사진들은 동아사이언스가 주최한 제1회 ... ...
신체지수 속의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한국인의 몸 알기새해를 맞아 새 옷을 사러 백화점에 갔다. 맘에 드는 코트를 찾았지만 어깨 넓이는 맞는데 소매길이가 짧아서 소매를 내야 했다. 코트에 어울리는 바지도 허리둘레는 맞는데 바지길이가 짧아서 밑단을 더 내야 했다. 한국의류학회는 공장에서 만들어 나온 남성용 정장의 43%, 여성용 ... ...
기하학의 새로운 탄생, 좌표평면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은 지구 어디쯤 있을까요? 우리나라는 위도 33~43°의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합니다. 만일 경도와 위도가 없다면 우리나라가 어디에 있다고 말하기 어려웠겠지요. 경도와 위도는 지구 위에 그려진 좌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학에서 좌표평면의 발견은 도형과 대수식을 연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초등학교 과정에서 딱 한 번만 나오는 아주 귀한 통조림이 나왔어요. 바로 ‘경우의 수’예요. 도대체 무슨 맛일까 궁금하죠? 어떤 학생들은 맛이 이상하다고 생각해 아예 뚜껑도 안 따고 치워 버릴지도 몰라요. 하지만 딱 한 번만 맛보세요! “아하! 바로 이 맛이었구나~”라고 감탄할 거예요. 지금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담을 수 있다.고속 천체망원경은 100억 원대로 레이저시스템보다 싸다. 또 레이저 추
적은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가 제공하는 위성궤적(TLE) 정보를 참고해야 하지만 고속 천체망원경은 정체불명의 위성의 형태까지 포착한다.구름이 잔뜩 낀 날씨에는 천체망원경은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최근 ‘중간권 얼음현상 대기물리학(AIM)’위성이 포착한 야광운(夜光雲) 사진을 공개했다. 야광운은 극지방과 노르웨이, 알래스카 같은 고위도 지방의 밤하늘 80km 상공에서 빛을 발하는 구름을 말한다. 지구에서 가장 높이 떠 있어 해가 진 뒤에도 햇빛을 계속 반사한다. 그래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했다. 먼저 수질을 조사했다. 놀랍게도 역고드름이 생긴 물에서는 불순물이
적은
게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역고드름을 만든 물은 보통 수돗물보다 칼륨이 9배나 많았고 미네랄 성분을 많이 포함한 암반수와 비슷한 수질을 보였다. 이는 리브레츠트 교수의 실험 결과와 정반대 ... ...
Part 1. 썰매 삼총사의 달리기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앞이라서 위험할 것 같지만 썰매가 루지보다 2배나 무겁고 커서 지금까지 큰 사고가 난
적은
없어.TV 프로그램 ‘무한도전’을 통해 잘 알려진 ‘봅슬레이’는 날씬한 몸매의 썰매차‘봅’을 타는 경기야. 차라고 하는 건 운전대와 브레이크가 있기 때문이야. 운전대와 브레이크는 서로 다른 사람이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1842년 김대건 신부가 쓴 편지에 날짜를 아라비아 숫자로 적고 있습니다. 아라비아 숫자를
적은
최초의 공식적인 문서는 1882년 조선과 미국이 조약을 체결할 때 영어로 작성한 조미수호통상조약입니다.”우리나라 사람들이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군요. 앞서 이야기했던 ... ...
수학적 사고력, 말도 잘 한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생활은 뉴스 시간에 따라 달라져요. 생활 리듬이 바뀌다 보니 아나운서들에게 가장 큰
적은
‘잠’이죠. 잠을 자다가 아침 뉴스를 놓친 경험이 있었어요. 그러면 안 되지만 아나운서들이 흔히 하는 실수예요. 또 중요한 사람을 인터뷰할 때는 굉장히 긴장해서 실수할까 봐 늘 걱정해요.”덧붙여, 이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