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연달아 완성할 수 있는 모양을 ‘길이가 n인 상자 고리’라고 불러요. 여기서 n은 3 이상인 자연수예요. 상자 고리 전략은 격자가 모두 상자 고리로 채워진 직후 선분을 그리는 사람이 반드시 질 수 밖에 없어요. 위 그림은 가운데 선분 6개가 이어진 선을 기준으로 왼쪽에 길이가 4인 상자 고리,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빛으로 식물이 더욱 빠르게 자라도록 하지요.또한 APH는 자동화된 식물재배장치로, 180개 이상의 센서를 갖고 있어 식물이 필요할 때 자동으로 물을 주거나 빛이나 온도를 조절해요. 앞으로 우주에서 샐러드를 먹을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죠?시원이는 얼른 하천을 건너 부모님께로 뛰어가 묶인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말했어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하우스에서 수박을 재배하며, 수박 중 95% 이상이 판매되기 때문에 당장 한국에 이 기술을 적용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특별 인터뷰 “ 과학책 보고 수박씨로 바이오에탄올 만들었어요.”◀ 송백영(아주대 국방디지털융합학과 2학년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없다는 것이다. 이상 반응이 생길 경우에는 보상도 받을 수 있다. 피내용과 경피용 모두 이상 반응으로 치료를 받아야 할 경우 진료비 중 본인부담금이 30만원이 넘을 때에는 신고를 하면 심의를 거쳐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신고 기관이 다르다. 피내용의 경우 보건소와 예방접종도우미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분비물, 의류 등 다양한 경로로 사람간 전염이 가능하지만, 호흡기에서 나온 비말은 2m 이상 전파되기 어려운 만큼 주로 환자 주변에 전파된다. 바이러스 중 가장 생존력이 뛰어나며, 피부 상처부위에서 떨어져 나온 딱지에서는 상온에서도 수년 동안 살아남는다. 저온에서 동결 보존할 경우에는 2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준이 발달하고 최근 10년 동안 비슷한 얼굴의 미인이 많아지면서 이런 얼굴에 더 이상 호감을 느끼지 않는 것 같다”며 “최근에는 웃을 때 입 꼬리가 올라가거나, 보조개가 들어가는 등 표정을 동적으로 만드는 시술을 받는 사람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고유한 개성을 띤 얼굴도 미인상으로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다 따지는 것은 시간 상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바둑 한 경기 당 경우의 수가 10170개 이상 존재한다. 따라서 실제로는 트리의 모든 분기를 다 시도하지 않고 확률적으로 일부만 따지는 ‘몬테카를로 방식’과, 트리의 끝까지 다 해보지 않고 도중에 그 이후의 승률을 추정하는 ‘경험 함수(heuristic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NIH)의 메인 캠퍼스가 자리해 있다. 이곳에는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병원에서는 더 이상 손 쓸 수 없는 난치성 희귀질환 환자들도 임상시험에 희망을 걸고 찾아온다. 11월 1일 NIH 캠퍼스 앞에 도착하자 지하철 메디컬센터역 출입구 벽이 눈에 들어왔다. 벽에는 ‘환자를 최우선으로(Patient First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떨어질 위험이 있다. 그렇게 되면 애써 채집한 표본의 가치가 떨어진다. 개미를 필요 이상 채집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과정이다. 겨울 개미 찾기 TIP 3: 낙엽 섞인 흙을 체에 걸러보자이번에 동 씨는 나무 밑에서 낙엽이 섞인 흙을 삽으로 퍼 체에 얹었다. 체를 흔들자 밑에 겹쳐 놓은 쟁반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활용해 신경망에서 신경 신호가 어떻게 전파되는지 양자역학적으로 계산했다. 2년 이상 연구에 매달린 김 연구원은 “생물학적인 현상을 물리학적인 문제로 정의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문제를 제대로 정의해야 올바른 답을 얻을 수 있는 만큼 이 과정이 핵심이다. 김 연구원은 “동일한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