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DNA 가닥을 바탕으로 한 실험과 실제 세포에서 한 결과에 차이가 생긴 것도 이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실험실 조건의 DNA에서는 증폭자가 자기가 원하는 곳에 언제든지 정확히 결합할 수 있었지만, 세포에서는 이 부분이 히스톤에 가려져 증폭자가 결합하기 어려워 전사를 진행할 수 없었다.이런 차이를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북한의 과학 용어 중에서 우리에게 가장 낯선 것은 어원이 외래어인 조선어 용어들이다. 예를 들어 다이오드(diode)를 ‘이극소자’로, 드라이아이스(dry ice)를 ‘고체탄산’으로, 임피던스(impedance)를 ‘완전저항’으로 읽고 쓴다. 과거에는 북한이 사용하는 조선어를 보고 북한이 남한보다 우리말을 ... ...
- 수학으로 그리는 생명의 나뭇가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론을 통해 과학자들은 새로운 종의 진화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수학이 생물학을 바꾼 예는 이뿐만이 아니다. DNA의 분자 구조는 결정속의 원자 구조가 만드는 회절 패턴으로 원자 구조를 재구성하는 브래그 법칙과 푸리에 변환이 있었기에 발견될 수 있었다. 멘델의 완두콩은 식물 개체들의 수학적 ...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올해 과제는 ‘공간을 확장하라’이며 빅뱅 이후 우주의 팽창을 묘사해야 한다. 8월부터 예선 접수를 시작한다(159쪽 참조).‘쉬운 일을 어렵게, 간단한 일을 복잡하게.’ 골드버그장치가 내세우는 이런 원칙은 효율과 목적에만 몰두하는 요즘 세태를 묘하게 비트는 것 같다. 긴 절차가 일견 낭비 ...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표절은 ‘적발 대상’, ‘도덕적 문제’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크다. 하지만 표절을 예방하는 것은 단순히 범죄나 책임을 피하는 것보다 의미 있는 일이다. 내 글을 안전하게 쓰는 동시에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존중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모인다.마요네즈를 만들 때는 물과 기름을 잘 섞어 주는 유화제가 들어간다. 예를 들어 달걀노른자에 들어 있는 레시틴은 물과 친한 부분과 기름과 친한 부분을 모두 갖고 있다. 그래서 물과 친한 부분은 물을 둘러싸고, 기름과 친한 부분은 기름을 둘러싸면서 물과 기름이 잘 섞여 있는 상태를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도구를 이용하면, 수학적으로 증명하지 않아도 정리나 공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예를 들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브릭으로 증명해 보자. 피타고라스 정리란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을 제외한 두 변의 제곱의 합이 빗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는 내용이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피타고라스의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빅데이터를 활용해 질병 예방은 물론 맞춤형 치료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질병을 예방하고 안전하게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우선이다. 환자의 건강에 대한 정보가 많을수록 정확하게 진단할 확률도 높아진다. 의료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환자와 의사가 모두 만족할 수 있기를 ...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값이 2배가 된다. 첫째 자리는 1(=20), 둘째 자리는 2(=21), 셋째 자리는 4(=22)의 자리다. 예를 들어 5는 1×22+0×21+1×20이므로 이진수로 나타내면 101(2)이 된다.] 수학을 즐기고 있나요?영화에는 수학에 재능이 있는 사람이 여럿 나온다. 하지만 모두가 수학 분야에서 성공하고 꿈을 이룬 건 아니었다. ...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발견된 이후 식물학자들은 메커니즘을 연구하기보다는 이것을 활용하는 데 집중했다. 예를 들어 난초는 정상적인 생식을 통해서는 일 년에 씨앗 하나 얻기 힘들다. 그러나 식물의 전형성능을 이용해 대량으로 난초를 배양하면 잎 하나로 몇 달 사이에 수백 개의 새끼 난을 만들 수 있다. 전형성능은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