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들렸지요. 새 박사님께서는 ‘쇠’라는 글자가 새 이름 앞에 붙으면 작은 새라고 설명해 주셨어요. 이날 직박구리, 멧새, 큰 유리새, 쇠딱따구리, 흰배지빠귀 등 총 10종의 새 소리를 들었어요. (김신혜, 서울 동산초 5) Q 비무장지대 탐사라 위험하지는 않았나요?선생님들은 지뢰를 조심하라는 말을 몇 ... ...
- [현장취재 1, 2]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비롯해 서양민들레, 지느러미엉겅퀴 등 많은 귀화식물들이 대원들의 손에 뽑혀 운명을 다했단다. 흑흑.대원들은 채집한 귀화식물을 스마트폰 현미경과 루페로 관찰한 뒤, 표본 부스로 가져갔어. 그곳에서 채집한 식물을 빠르게 건조시키고 표본용 특수 종이에 붙여 표본으로 만들었지.‘꿈꾸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과학으로 신나게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자동차가 달릴 장소, 자동차의 모양, 바퀴, 사용할 에너지를 고르세요.”선생님의 설명에 따라 각 조의 친구들은 자동차를 설계하기 시작했어요. 물을 전기분해할 때 나오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 휴대전화처럼 전기플러그를 꽂아 충전시키는 자동차 등 다양한 자동차가 그려졌지요.“이 ... ...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애니메이션은 ‘페나키스토스코프’라는 장치로, 1832년 벨기에의 조제프 플라토가 발명한 시각 놀이기구예요. 원통 안쪽에 둘레를 따라 모양이 다른 그림을 붙이고, 가운데에 거울을 놓은 뒤돌려 보는 장치지요. 그럼 그림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답니다.본 실험에 앞서 기자단 친구들은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생태계가 조금만 바뀌어도 곤충은 그 수가 급격하게 늘어날 수 있어요.한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부 변봉규 교수는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생태계 안에서는 특정한 종의 곤충이 폭발적으로 생기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면서 “그래서 최근 곤충의 수가 급격하게 늘어난 점은 무척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되면 방 안에 불이 켜져야 한다. 위와 같은 원리로 ‘밤이 되면 방 안의 불이 켜진다’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센서에서 나오는 빛을 손으로 가렸을 때 컴퓨터 속 캐릭터의 방에는 불이 켜진다. 그러면 캐릭터는 침대로 가서 눕는다.수업을 맡은 손경호 교사는 “아이들이 처음에는 어려워해도 곧잘 ... ...
- [과학뉴스] 심장 건강에 좋은 초콜릿 만드는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효과가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영양학’ 10월 1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1139명을 대상으로 플라바놀 함량이 166~2110mg로 다양한 초콜릿 19가지를 2~52주 동안 먹게 했다. 그리고 실험 참가자들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플라바놀을 매일 200~600mg씩 먹은 사람들에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드물었다는 의미다.오토 트림은 무조건 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장수철 명정보기술 데이터복구사업부 차장은 “최 씨의 태블릿 PC가 윈도우 기반의 PC였다면 검찰이 삭제한 파일을 복구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좋아 내용이 일치하면 금방 규명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화재는 복잡하고 다양해 원인규명이 쉽지 않다. 화재조사관들이 끊임없이 화재현장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려는 이유다. 각자의 노하우를 공유해 한국의 화재조사 수준을 높이려는 게 이 대회의 목표다.매년 11월, 전국 19개 ... ...
- [Career] “ 땅 속, 바다 아래 에너지 자원 있는 곳 어디든 가죠”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기업으로 진출하기도 합니다. 석·박사 과정에 진학하는 친구들도 많고요. 2014~2015년에 48명이 졸업했는데, 그 중 80%는 대학원에 진학했고, 약 10%정도는 전공과 관련한 대기업에 입사했습니다. 석사나 박사까지 공부를 하면 주로 공기업이나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으로 진출합니다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