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높은 공사 현장까지 올려보낼 수 있어야 한다. 한국 기술진은 고민 끝에 펌프를 생각해 냈다. 옛날 우물가나 마당에서 물을 끌어올리는 데 썼던 펌프는, 물을 누르는 공기의 압력을 작게 해 물이 관을 따라 올라오도록 하는 원리다. 하지만, 부르즈 칼리파를 지을 때는 우물가의 ... ...
-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것을 반복하다 결국 길을 잃고 말죠. 전 제가 가고 있는 길이 옳은 길이라고 생각하고 끝까지 갔어요. 그래서 쉽게 미노타우로스를 만날 수 있었죠. 하하.여러 갈래의 길이 있어 복잡한 미로를 탈출하는 방법은 모르지 않냐고요? 저를 어떻게 보시고. 에드워드 루카스가 만든 미로 탈출 전략을 알고 ...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엄지손가락은 2°에 가깝다. 만약 오늘 밤 달의 고도가 궁금하다면 팔을 펴서 엄지손가락 끝을 지평선에 맞춘 다음, 손바닥을 달까지 펼쳐 보자. 한 뼘 반 위치에 달이 있다면 달의 고도는 약 30°다. 위치 계산 단숨에지구상의 특정 위치를 나타낼 때는 각도와 같은 단위를 쓴다.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전무한 상황에서 선진국의 최신 논문을 확보하는 것이 연구의 최대 관건이었다. 취재가 끝난 뒤 며칠 후 이 교수는 은하와 은하 사이를 떠돌아다니는 구상성단 무리를 처음으로 발견해 국제학술지인 ‘사이언스’ 3월 1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에 쓰인 구상성단 데이터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지역은 수도권(수도권숲길), 강원권(야생화숲길 등), 충청권(내포문화숲길 등), 호남권(땅끝숲길 등), 영남권(금강소나무숲길 등), 지리산권(지리산숲길), 제주권(한라산숲길) 등 7개 권역이다. 산림청은 지난해 우리나라 최대의 금강소나무 군락지로 유명한 경북 울진 소광리 지역에 ...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염기서열을 지닌 부분에 달라붙어 mRNA 파괴를 유도한다. 현 교수님은 내년에 연구단이 끝나시는데, 지금 얘기한 주제로 다시 신청하시면 어떨까요?현 : 좋은 생각입니다(웃음). 아무튼 창의연구사업은 우리나라 과학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했다고 자부합니다. 1997년 선정된 포스텍 김기문 ... ...
- 창의적인 발명가 되는 비결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연결선이 지나가는 사람에 걸려 뽑히면서 쉽게 망가지는 것으로 보고, 전원 연결선의 끝부분과 노트북의 전원 연결 단자에 자석을 넣어 사람의 발에 걸릴 경우에도 전원선이 안전하게 분리되도록 했다.자석은 그 밖에 다른 수많은 발명에서 애용되고 있는 구성 요소이다. 경우에 따라 전기가 흐를 ...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산갈치, 노무라입깃해파리가 서로 만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거친 몸싸움 끝에 포식자가 되는 주인공은 누굴까.세 동물의 ‘스펙’을 비교해보면 평균 몸길이는 현존하는 무척추동물 중에 가장 큰 대왕오징어(10m 안팎)가 우세하다. 노무라입깃해파리는 우산의 지름 1m 정도에 몸길이 5m로, 최근 ... ...
- 감쪽같이 위장한 ‘움직이는 나뭇잎’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돋은 성체로 자란다. 대나무 가지에 가시 돋친 잎들이 뭉친 것처럼 생겼다.다리마다 끝부분에는 튼튼한 발톱이 달려 있어 식물에 단단히 들러붙을 수 있다. 사실 큰가시대벌레가 식물에 매달리는 이유는 잎사귀대벌레처럼 잎을 먹이로 삼기 때문이다. 주머니쥐 같은 천적이 나타나면 큰가시대벌레는 ...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있기 때문에 ‘몸속’에 들어 있다는 말은 틀린 표현이라고 설명한다. 소화관의 시작과 끝인 입과 항문이 외부와 연결돼 있으므로 결국 소화관은 외부와 마찬가지인 공간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므로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은 위 안에 있어도 아직 ‘몸 밖’에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음식물이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