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595건 검색되었습니다.
ICT가 여는 선주문 소량생산 시대
동아일보
l
2016.03.30
올해 1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같은 국내 ICT업계의 소량생산 실험이
김
의장이 발표했던 것처럼 시장 구조를 바꾸고 중소 사업자들에게도 기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홍은택 카카오 부사장은 “모바일 환경이 조성되면서 기존의 대량생산 구조와 달리 지속가능한 ... ...
신종 감염병 바이러스 한번에 100종 분석 기기 개발
2016.03.30
동시에 검출할 수 있어 신·변종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조기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김
연구원은 “마이크로 입자는 제작 기간이 짧고 대량생산이 가능해 가격경쟁력이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 칩을 이용해 마이크로RNA의 양적 변화를 살피면 병원체의 약물 내성을 파악해 더 나은 약물을 ... ...
[신나는 공부]“미션! 로봇 ‘알버트’를 거울에 비치는 것처럼 움직여라”
동아일보
l
2016.03.29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을 생각해내는 수업인 ‘위험한 나를 구해줘’가 대표적인 사례.
김
교사는 “SW 교육은 주어진 과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라면서 “‘아띠에 손을 대면 빨강 조명이 깜빡깜빡 켜지면서 큰 사이렌 소리가 나서 다른 사람에게 위험한 ... ...
김
진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단장, ‘노벨상 펀드’ 지원 받아
2016.03.28
수상한 아지즈 산자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의대 교수도 1992년 HFSP의 지원을 받았다.
김
단장은 프랑스 연구진과 함께 쥐여우원숭이의 뇌 신경망 지도를 구축해 신경 질환의 원인과 치료 방법을 찾을 계획이다. ... ...
웨어러블 핵심 소재로 꼽히는 ‘차세대 그래핀’ 대면적화 성공
2016.03.27
이동도는 기존 대비 10배 이상 향상됐다. 그만큼 전자가 빠르게 이동한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향후 실리콘 기반 전자회로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며 “투명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뿐만 아니라 광전자 소자, 에너지 소자, 나노바이오센서 분야의 핵심 소재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 ...
[웨어러블 로봇의 세계]로봇 옷 입고 ’아이언맨’ 변신, 준비됐나요?
2016.03.26
‘초인(超人)’이 될 수 있는 길을 기계 보조장치를 이용해 찾고 있는 셈이다.
김
교관은 “뜨거운 화재 현장에서 방화복을 입고 올라가다 보면 체력적인 한계로 10층 이상 올라가는 건 현실적으로 무리”라면서 “이 로봇을 이용하면 더 높은 층까지 생존자 수색이 가능할 것 같다”고 말했다. ... ...
LG G4 유저의 삼성 갤럭시 기어S2 개봉·사용기 (下)
동아사이언스
l
2016.03.25
9단’과 ‘알파고’의 대결에 집중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차피 늦어진
김
에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보자’고 맘먹었지요. 기어S2를 가지고 놀면서, 그리고 이런 저런 정보를 찾아보면서 수심 1.5m에서 약 30분 이내의 일시적인 침수에 대해 방수가 가능하다는 ‘방수 기능’을 보고 ... ...
[CAR]“팔방미인 그녀, ‘티에’와 함께 해요”
동아일보
l
2016.03.25
때문이다. 쌍용자동차는 세련된 화풍과 미인을 잘 그리는 게임 캐릭터 작가로 통하는
김
작가와 만나 자동차 업계 최초로 게임 캐릭터와의 컬래버레이션을 시도했다. 소형 SUV 티볼리 브랜드 고유의 세련되고 스타일리시한 디자인 정체성을 고스란히 담은 티볼리 에어는 넓어진 공간만큼 더 자유롭고 ... ...
근육 키우고 줄이는 유전자 발견
2016.03.23
완벽히 회복된 반면, 스태빌린-2가 결핍된 쥐의 근육에는 여전히 손상이 남아있었다.
김
연구원은 “사멸세포가 아닌 살아있는 근육세포에서 융합을 조절하는 수용체를 발견한 것은 세계 최초”라며 “향후 연구를 거듭하면 스태빌린-2의 발현량을 조절해 근육의 회복 및 성장 속도를 늘리는 ... ...
0.5㎜ 혈관까지 선명하게…고위험 동맥경화반 조기진단 기술 첫 개발
2016.03.23
심장 혈관과 크기가 유사한 토끼의 대동맥에서도 동맥경화반 영상을 얻는 데 성공했다.
김
교수는 “고위험 동맥경화반만 선택적으로 찾아낼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을 개발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며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