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황
d라이브러리
"
현재상황
"(으)로 총 3,48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기술 교육 대학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이 대학은 실험실습시간이 서울대 2백88시간, 연세대 4백16시간, 충남대 6백72시간보다 6~10배에 달하는 2천4백84시간이다. 여기에 교직과목 20학점을 더 따야 하기 때문에 대학의 낭만을 잊고 지낸다.육해공군 삼군사관학교처럼 스파르타식으로 강도 높은 기능교육을 하는 대학이 있다. 한국기술교육대 ... ...
하드 디스크를 넓게 쓸 수 있는 압축 프로그램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소프트웨어의 크기는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PC에 붙은 하드디스크의 크기는 커지지 않는다. 한정된 하드 디스크를 넓게 쓸 수 있는 각종 압축프로그램들을 알아보자.초보자들을 위한 컴퓨터 교재에는 파일의 종류를 크게 실행파일 COM EXE BAT과 각종 데이터 파일 TXT DOC 등으로 분류해 설명한다. 그런 ... ...
PC 이상작동 응급처치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컴퓨터는 좀처럼 실수를 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컴퓨터의 돌연한 이상으로 낭패를 겪는 일이 다반사다. 멀쩡하던 컴퓨터가 갑자기 '파업'을 선언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컴퓨터의 이상사태를 항목별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책을 알아본다.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가 고장났다고 판단하는 순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마이크로 머신은 기존 기계의 축소품이 아니다. 멋 모르고 그 세계에 들어갔다가는 낭패를 당하기 십상개미나 모기 크기 정도의 로봇이 있다고 생각해 보자. 더 나아가 세균만한 크기의 현미경적 로봇이나 분자(分子) 크기의 로봇을 상상해 보자.과연 로봇이란 느낌이 들겠는가. 로봇이 인간과 닮을 ... ...
코비의 우주배경복사 온도차이 재확인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지난해 4월 코비가 발견한 우주배경복사의 온도차이를 여러 곳의 관측기기가 확인하고 있다. 지난해 4월 코비(COBE)위성은 빅뱅의 잔해라고 할 수 있는 우주배경복사의 미세한 차이를 발견했다. 우주배경복사란 우주 대폭발 때의 빛의 잔해. 그런데 문제는 이 빛의 잔해가 우주 어느 곳을 둘러보아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우주탐험관에서는 블랙홀에 빠져들어 빅뱅 순간까지 경험하는 우주 시공간여행이 이루어지고, 인간과 과학관에서는 두뇌속에서 펼쳐지는 상상의 세계를 체험하는 가상여행이 가능하다.한밭벌 엑스포장에는 달기지 하나가 건설돼 있다. 'MOON BASE 2093'이라 명명된 이 우주기지는 지금부터 1백년 후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오늘의 한국인 과학자, 그들은 누구인가. '생명공학'을 통해 내일의 한국을 여는 일에 몰두하는 KIST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들어본다.대전에서 약 15분, 오는 8월의 개막을 앞둔 EXPO 전시관들을 오른편으로 두고 띄엄띄엄 각종 건물들이 들어선 대덕연구단지가 나 ... ...
부란과 미르 앞세워 새 활로 찾는 옛소련 우주항공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러시아의 우주개발계획은 앞으로 개방화 국제화 상업화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지금까지 국내에 소개된 옛소련의 우주항공관계 자료는 대부분 미국이 제공한 것이다. 따라서 우주개발 역사를 볼 때 미국과 더불어 옛소련이 또 하나의 커다란 흐름을 이루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옛소련의 우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차세대 자동차용 고강도 고성형성 신금속포항 산업과학기술연구소 김태웅박사 주도로 개발기존 자동차용 내연강판보다 강도는 3배 높으면서 성형성이 뛰어난 신금속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화제의 주인공은 포항 산업과학기술연구소의 김태웅 박사. 그는 한국과학기술원 김영길교수가 ... ...
2020 달연구기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옛소련의 붕괴로 당분간 우주개발분야는 미국의 독주가 계속될 전망이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2020년경 본격적인 달 연구기지가 활동을 개시할 것이다.미국과 일본은 공동으로 2020년까지 달에 연구기지를 건설하는 계획을 진행시키고 있다.24년 전인 1969년 7월 21일, 미국의 닐 암스트롱이 아폴로 11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