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연대
시기
당시
당대
세상
부분
d라이브러리
"
시대
"(으)로 총 5,521건 검색되었습니다.
계절마다 별의 위치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천동설은 그리스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에 이르러 그 체계가 완성됐다. 이 이론은 중세
시대
에 그리스도교 교리로 인정받아 절대적인 진리가 됐다.이 생각은 16세기에 접어들면서 폴란드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에 의해 바뀌었다. 코페르니쿠스는 지구가 아니라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 되면 복잡한 ... ...
한반도를 두근거리게 할 코리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풍요로운 삶을 만끽했다. 한국에서 발견된 공룡과 앞으로 발굴될 공룡들, 그들과 한
시대
를 풍미했던 친구들을 만나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를 두근거리게 할 코리아노사우루스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2. 그 많던 공룡을 누가 다 죽였을까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4. 익룡은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호수 지층으로 주로 구성된 점도 비슷하며 화산 활동의 영향을 받은 것도 일치한다. 지질
시대
의 환경이 같은 우리나라에서도 곧 랴오닝성처럼 세계가 깜짝 놀랄만한 화석이 발견되지 말라는 법은 없다. 그럼에도 아쉬움이 크게 남는 것은 바로 랴오닝성의 보물들이 우리가 잃어버린 영토 속에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경산에서 발견된 거북뼈는 최근 ‘키르기제미스’로 판명됐다.새들도 낙원이었다공룡
시대
에 살았던 조류 가운데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것은 세계적으로 모두 11종. 이 중에서 국내에서 발견된 것만 4종에 이른다. 다른 포유류와 뱀 뼈처럼 새 뼈 화석은 잘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가치는 ... ...
공학에 한번 빠져 봅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수단이 됐다. 공학자의 힘을 빌리지 않고는 국가의 자립조차 장담할 수 없는 ‘공학의
시대
’다. 이 책은 한 사람의 공학자가 사회와 국가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실감나게 보여준다. 현대에는 작은 세라믹 콘덴서를 개발하거나 성능이 뛰어난 철강을 만드는 것이 무기를 든 전쟁에서 이기는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1808년 외딴 섬마을 동화도에서 종이가 수송선과 함께 불타는 사고가 벌어진다. 사건 해결을위해 '조선과학수사대' 원규 일행이 동화도로 ... 무원록은 시신에 나타난 흔적을 통해 ‘어떻게 살해됐는가’를 밝힐 뿐 아니라 조선
시대
과학수사대의 수사 지침이 된 법의학 지식창고였던 셈이다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공통 목표. 플래시메모리의 바통을 이어받을 차세대 반도체메모리는 지금 춘추전국
시대
를 맞고 있다.노어(NOR)와 낸드(NAND) | 플래시메모리를 구성하는 셀의 연결 방식에 따라 노어(병렬)와 낸드(직렬)로 나뉜다. 노어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 휴대전화에 주로 쓰이고, 낸드는 저장 용량이 커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여기에 디지털카메라 못지 않은 성능을 자랑하는 카메라폰을 합치면 바야흐로 '1인1디카'
시대
라 해도 그리 무리는 아니다. 과학이 풀어주는 '디카 잘 찍는 법'을 소개한다.‘얼짱’ 각도에도 이유 있다45도로 기울인 렌즈, 지긋이 치켜 뜬 눈, 비스듬히 기울인 얼굴…. 요즘 유행하는 ‘얼짱’ ... ...
구름 위에서 즐기는 웹서핑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있다. 응급 환자의 원격 진료나 보안 감시에도 이용할 수 있다. 위성이 연 기내 인터넷
시대
지금까지 비행기 안에서는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마련된 통신용 주파수가 없어 인터넷을 쓸 수 없었다. 그러나 2003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14~14.5GHz 대역의 주파수를 2차 업무용으로 항공기 인터넷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지난 5월 19일 낮(현지시간) 세계의 눈과 귀가 영국 런던 과학미디어센터로 일제히 집중됐다. 지난해에 이어 또한번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일을 낸’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팀의 기자회견이 열렸기 때문.황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난치병에 걸린 환자에게서 치료용 배아줄기세포를 얻어냈다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